인천시가 감사원으로부터 2014아시아경기대회 경기장 건설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시가 재정여건을 고려치 않고 필수시설이 아닌 사업을 강행하고, 신규 훈련시설 건설에만 주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21일 감사원 감사결과, 시는 2009년 계양경기장 등 3개 경기장 부지 내 39만㎡의 체육공원 조성을 위해 해당 부지를 보상취득했다.
당시 기획재정부는 체육공원은 아시아올림픽평의회에서 요구하는 필수경기시설이 아니란 이유로 국고보조대상에서 제외시켰다.
그러나 시는 체육공원을 대회시설에 포함시켜 시 자체 재원으로 부지보상을 추진했지만 조성공사비를 확보하지 못해 사업이 중단됐다.
그 결과 체육공원 조성을 위해 토지매입에 사용된 보상비 1천311억여원이 장기간 사장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 감사원은 시의 어려운 재정여건을 감안해 체육공원 조성사업 추진을 재검토하는 방안을 수립하라고 통보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당시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체육공원부지를 포함한 사업계획구역을 승인받아 사업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개발연구원의 사업타당성 재조사에서도 해당사업이 난개발 방지와 행정의 일관성 측면에서 사업성을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또 감사원은 계양축구훈련장 등 대회 훈련시설도 기존 시설 활용방안 검토 없이 시설 확충에만 주력해 예산을 낭비했다고 지적했다.
인근 시설을 개보수해 사용할 경우 52억원의 공사비가 들지만, 시는 170억원을 들여 51개 시설을 확충해 건설했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감사원은 예산부족에 따른 클레이사격장 건설 차질, 경기장 안전성 우려, 계약업무 부당처리 등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