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재정난이 정말로 심각하다. 도는 재정난 타개를 위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첫 감액추경, 내년도 실·국 가용재원 반 토막에 이어 이번에는 홍보성 사업도 구조조정에 들어갈 것 같다. 도 관계자가 “행사성 경비 사업을 줄이기 위해 실·국별 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미루어 소위 ‘홍보성 사업’들도 중단되거나 대폭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살림이 어려우면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법이다. 도는 주택 거래절벽으로 취득세를 포함한 지방세 수입이 9천405억원 감소하는 등 세입 감소로 인해 3천875억원을 감액한 제1차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했다. 감액추경은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이다.
뿐만 아니라 올해 1조1천748억원보다 51%가량이나 줄어든 5천743억원의 내년도 실·국 투자재원을 책정, 실·국에 배분했다. 이로 인해 도 살림은 초비상 상태다. 올해 경기도 세수결함이 4천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등 1조500억원 이상의 재정 결함에 직면해 있다. 내년에도 세입 목표대비 약 6천억원의 세수결함이 예상된다. 이로 인해 수원 광교신도시에 들어설 예정인 경기도신청사가 내년에도 착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발생하고 있다. 경기도는 현재 실시설계중인 광교신청사를 내년 착공, 오는 2016년 준공키로 한 바 있는데 지금과 같은 부동산 거래 침체가 계속될 경우 내년 본예산에 경기도신청사 착공 예산을 포함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는 것이다.
또 도는 하반기 공무원 정원을 늘리지 않기로 했다. 안전행정부로부터 배정받은 올 하반기 총액인건비 대비 공무원 정원 52명을 확대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2008년 전국적인 공무원 정원 감축 조치 이후 두 번째다. 이런 형편에서 이른바 ‘홍보성 사업’에 대한 재검토는 지극히 당연하다. 검토되는 사업은 경기국제보트쇼와 세계요트대회, 경기안산항공전을 비롯한 20여개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 사업에 들어가는 예산은 100억원 정도라고 한다. 이 가운데 전시성 홍보성 사업이라는 지적을 많이 받고 있는 사업은 경기국제보트쇼다.
올해 6회째인 이 행사는 초기부터 전시성 행사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경기국제보트쇼에는 매년 50억∼75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데, 지난 19일 30개 사회·농민단체로 구성된 ‘친환경 학교급식을 위한 경기운동본부’는 김문수 지사가 발표한 무상급식 삭감 반대 집회를 열고, 경기국제보트쇼 중단을 촉구하기도 했다. 도의 고민이 느껴지지만 분명한 것은 당장 하지 않아도 되는 행사는 중단하거나 뒤로 미루는 것이 낫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