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재정위기로 광교신도시 신청사 건립이 지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당장 내년에 소요될 공사비 약 250억원 확보 가능 여부가 불투명한 까닭이다.
28일 도에 따르면 광교신도시 내 5만9천㎡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25층, 연면적 10만1천879㎡ 규모의 신청사를 짓기로 하고 내년 2월 설계를 마칠 예정이다.
설계비 130억원 가운데 99억원이 확보됐고 나머지 31억원은 내년 예산에 반영된다.
설계가 마무리되면 반년 이상 계약심사와 입찰 등의 행정절차를 거치게 돼 내년 9월 쯤에는 착공할 수 있다. 준공 예정일은 오는 2017년 8월이다.
공사비는 내년(9∼12월) 249억원, 2015년 744억원, 2016년 744억원, 2017년(1∼8월) 498억원 등 모두 2천235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그러나 도의 재정난으로 내년 공사비 249억원의 확보가 난항을 겪고 있다.
도는 올해 4천500억원 이상의 세수결함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 3천875억원을 감액한 1차 추경예산안을 짰다.
내년에도 올해 본예산과 비교, 5천139억원의 쓰임새를 줄이기로 했다. 여기에는 무상급식 관련 예산 874억원을 포함해야 할 정도로 강력한 ‘세출 구조조정’에 직면했다.
도 관계자는 “내년에 줄일 수 있는 모든 세출을 줄이겠다는 것이 도의 방침이라 신청사 공사비 249억원의 본예산 반영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설계 중단에 따른 광교신도시 입주민들의 저항을 경험했던 터라 쉽게 공사비를 삭감할 수도 없지만, 광교 입주민만을 위해 공사비를 집행할 경우 내년에 사업예산이 깎이는 다른 지역 주민이나 단체의 반발도 우려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내년 본예산에 공사비가 포함되지 않으면 행정절차 등을 감안해 착공은 당초 보다 반년 이상 늦어진 오는 2015년 6월로 연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