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통합진보당 관계자들의 ‘내란예비음모’ 혐의 수사와 관련해 통합진보당이 참가하는 촛불집회 불참을 검토하는 등 진보당과 거리두기에 나섰다.
29일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 등이 국정원의 수사대상에 오른 이번 사건에 대해 “민주당으로선 이번 ‘진보당 사태’가 악재가 아닐 수 없다”면서 “이번 사태와 관련해 우리는 굉장히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민주당은 30일 부산에서 시민단체들이 주축을 이룬 ‘국정원 사태 시국회의’가 주최하는 촛불집회에 당 차원에서 참여하지 않는 것은 물론 의원들에게도 참여를 자제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같은 날 전남 무안에서 열리는 전남도당 개원식을 확대해 국정원 개혁 당원결의대회를 열기로 했다.
한 핵심관계자는 “내일(30일) 부산에서 열리는 촛불집회에 당 지도부가 참석하지 않는 것은 물론 의원들에게도 참석하지 말 것을 권고하기로 했다”면서 “의원들도 자제해 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같은 대처는 진보당이 이번 수사를 ‘촛불세력에 대한 탄압’으로 규정하고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과 관련한 촛불집회 수위를 높이려는 상황에서 자칫하면 민주당도 ‘종북’ 논란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특히 민주당이 국정원의 대선개입 사건과 관련해 장외투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진보당에 대해 어정쩡한 입장을 취할 경우 여당으로부터 역공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하고 있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워크숍에서 “이제까지 알려진 혐의가 사실이라면 용납할 수 없는 충격적 사건”이라며 “어처구니없는 발상이 사실이라면 또 하나의 국기문란 사건으로 철저한 수사가 있어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진보당 트라우마’는 지난해 총선과 대선을 거치며 축적됐다.
민주당은 4·11 총선에서 진보당과 야권연대를 이룸으로써 진보당이 원내 제3당으로 발돋움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줬지만, 총선 직후 진보당이 비례대표부정선거 의혹과 종북논란에 휩싸이면서 민주당도 ‘초록동색’으로 몰리며 타격을 입었다.
대선 때도 당시 진보당 대선 후보로 나선 이정희 대표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맹공하면서 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지원했으나 일부 강경발언으로 인해 오히려 부동층의 표심이 박 후보로 쏠리며 문 후보는 역풍을 맞은 셈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