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의 강남대부설유치원이 국가지원금을 제외하고 순수 학부모 부담금만 월간 71만5천원의 교육비로 이른바 ‘귀족유치원’으로 알려졌다.
특히 사립유치원의 학비 부담이 전국 평균 연 245만원에 달한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강남대부설유치원은 4배에 달했다.
1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부는 유치원 정보공시 사이트인 ‘유치원 알리미’(e-childschoolinfo.moe.go.kr)를 통해 원비 현황, 회계 결산서, 유치원 규칙, 위반내용 및 조치결과 등 4개 항목을 공시했다.
국립 3개원, 공립 4천516개원, 사립 4천40개원 등 모두 8천559개원이 참여한 이번 공시에서 만 5세 이상 기준 교육과정과 방과 후 과정 비용을 합한 월 교육비는 사립유치원이 전국 평균 19만1천737원으로, 공립의 1만3천285원보다 14배나 많았다.
이번 공시부터 유치원비를 학부모의 실질부담금과 국가부담금을 구분·공표하게 해 과거 자료와 달리 실제 학부모가 내는 비용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게 됐다.
또 시·도교육청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금을 표기하는 ‘기타부담금’ 항목도 신설했다.
만 3세의 학부모 실질 부담금은 사립이 19만1천352원, 국·공립은 7천832원이고, 만 4세는 사립이 19만3천294원, 국·공립은 1만2천106원이었다.
만 5세 이상의 사립유치원 월간 교육비를 연간으로 환산하고 입학경비를 더한 연간 비용은 244만8천원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만 5세 이상 기준으로 서울이 27만1천682원으로 가장 비쌌고, 인천이 22만7천521원, 경기가 21만9천737원 등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강원과 충북은 9만5천526원, 9만5천871원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유치원은 서울시 성북구의 우촌유치원이 월간 100만원의 교육비로 가장 비쌌고, 용인의 강남대부설유치원은 71만5천원으로 왠만한 사립대학 등록금을 웃도는 이른바 ‘귀족 유치원’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