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원내 전략 등 정국 대응 방향을 놓고 내부 혼선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석기 의원 사태에 대한 후속 조치를 놓고 지도부 내에서 균열이 감지되고 있다.
김한길 대표는 8일 기자간담회에서 ‘종북세력’과의 단호한 결별을 선언하면서도 제명안에 대해선 “제명 요건을헌법개정 요건이랑 같이 맞췄는데, 그만큼 신중하자는 것이 헌법의 요구”라고 신중론 입장을 보였다.
그러자 조경태 최고위원은 9일 새누리당이 ‘내란음모’ 혐의로 구속수감된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에 대한 제명안을 국회 윤리특위에 제출한 것과 관련, “제명안에 대해 한치의 미적거림이 있어선 안 된다”고 밝혔다.
조 최고위원은 이날 서울광장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법 절차에 따라 국가 부정세력을 반드시 축출해야 한다”며 제명안의 조속한 처리를 주장했다.
그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종북논란을 불식하고 종북 연계집단과 단호히 절연해야 한다. 종북의 꼬리를 잘라내야만 새누리당의 ‘종북 전략’에서 벗어날 수 있다”며 “민주당은 국민이 뭘 원하는지 다시 되새겨야 한다. 이 의원에게 단 하루치 세비도 주고 싶지 않다는 게 국민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번 이 의원 체포동의안 투표 결과에 대해서도 “반대표를 던진 의원이 있다면 여야를 불문하고 무기명 뒤에 숨지 말고 당당히 나서서 입장을 밝혀야 한다”며 “민주당이 수권정당으로 가기 위해선 이석기 사건에 대해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최고위원은 국정원 개혁 수위에 대해서도 “개혁에는 힘을 모아야 하지만 국정원 해체는 부분적 무장해체와 마찬가지로, 국가를 부정하는 것”이라는 견해를 폈다.
이러한 가운데 원내 전략을 놓고도 강온파간 대립이 계속되고 있다.
원내 지도부는 원내외병행 투쟁 원칙에 따라 금주중 역사 교과서 왜곡 논란(교육문화체육관광위), 일본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논란(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등 현안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나마 상임위 가동에 들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당내 강경파를 중심으로 “지금은 밖에서 싸워야 할 때”라고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