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여성경제활동 인구 10년새 2배

고령인구·1인가구도 급증
보육지원제도 강화 필요

경기도내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뚜렷해지면서 최근 10년 사이 여성경제활동 인구와 1인 가구, 고령인구 비율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경기개발연구원 이외희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한 ‘경기도의 인구구조별 사회경제적 특성과 도시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여성의 학력이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지면서 여성경제활동인구가 2000년 24.5%에서 2010년 45.4%로 증가했다.

2010년 기준 대학 이상 학력중 여성경제활동인구는 53.5%에 달했다.

미혼비율은 2000년 27.9%에서 2010년 30.5%로 증가한 가운데 25~39세 구간은 21.7%에서 39.6%로 2배 가까이 급증했다.

미혼·이혼·사별 비율이 높아지면서 1인 가구와 독거노인, 활동제약을 겪는 고령자 수도 많아졌다.

특히 여성 고령자는 2010년 기준 60~64세 생활비 자가부담 비율이 49.5%로 남성(64.9%) 보다 15.4%p 낮아 경제적으로도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의 경제적 특성으로는 여성 및 고령자의 통근 비율이 증가했고, 기혼여성 및 고령자의 경우 짧은 통근소요시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의 30분 이내 통근 비율은 66.5%로 전연령의 46.8%보다 높았고, 기혼여성의 30분 이내 통근비율이 57.5%인데 비해 미혼은 42.4%로 격차를 보였다.

이에 따라 이 선임연구위원은 여성경제활동인구를 위해 일·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보육지원제도 강화와 공공보육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도시정책 차원에서 1인가구와 독거노인 등을 위한 ▲다양한 주거유형 도입 ▲안전한 도시환경 구축 ▲무장애 도시 조성과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노후 복지제도 및 주택바우처 등 노인주거복지 및 의료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외희 선임연구위원은 “도시개발 및 정비 시 도시시설을 집약하는 등 효율성을 높이고 기성 노후시가지와 도심지역 정비를 통해 노인·여성인구를 위한 주거 공급, 일자리 제공 등 장기적으로 직주근접도시 실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