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오산 시민, 행복도시를 말하다’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300인 원탁토론회’가 시의회 추경예산에 발목(본보 2일자 8면 보도)이 잡혀 전면 무산되면서 오산시의 안일한 뒷북행정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사업 진행을 위한 추경예산도 결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하게 사업을 추진, 결국 홍보물 제작 등 초기예산만 낭비한 채 무산됐다는 지적이다.
2일 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예산 2천500만원을 투입해 오는 23일부터 300명의 시민과 ‘행복도시로 가기 위한 오산의 미래 비전은 무엇인가’, ‘더 나은 교육도시로서 나아갈 방향은 무엇인가’라는 2가지 의제를 갖고 원탁토론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시의회는 지난 1일 최종 계수조정을 통해 300인 원탁토론 사업비 2천500만원의 추경예산을 전액 삭감시켰다. 시민정서와 동떨어진 사업이자 집행부의 잘못된 계획이 가져온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시는 그동안 홍보물 1천장을 제작해 시 전역에 배포하고, 인터넷 공모나 각 부처의 협조를 통해 시민참가자 300명 모집을 이미 완료한 상태여서 이날 사업이 전면 백지화되자 시는 일일이 공모참가자들에게 전화와 문자를 통해 사과와 양해를 구하는 등 곤혹을 치렀다.
더욱이 일부 시민참가자들은 이번 사태에 강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어 향후 논란이 가중될 전망이다.
시민 A(오산동·여)씨는 “토론질문에 따라 시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토론하는 자리가 생겨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며 “시의회가 무슨 명분을 가지고 예산까지 삭감시키며 시민들의 생각을 저지하는 의도가 무엇인지 한심하고, 정치적 모략에만 의존된 판단에서 나온 이중적 행태”라고 지적했다.
그는 “시 또한 사정이 어떻든 시민과의 약속을 저버리는 행위는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힐난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원탁토론은 준비기간이 충분히 필요한 만큼 시행 이전부터 의원간담회에서 충분한 설명을 통해 양해를 구해 이행한 부분이었다”며 “예산 또한 기존에 있는 여론조사비 등을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시의회가 심의과정 중 이런 부분에 있어 신중을 기하지 못한 점에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또 “집행부로서는 어쩔 수 없는 불가피한 일이 발생해 시민들에게는 죄송할 따름”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