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박물관과 청소년 수련원 등 문화체육시설 입장료 인상을 추진한다.
이는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3천785억원의 감액 추경을 실시하고 내년 본예산도 올해 대비 5천139억원을 줄이는 등 심각한 재정난을 타개하기 위한 수단이다.
15일 도에 따르면 도는 산하기관과 실·국별로 직원 연가보상비 반납, 행사성 사업 폐지, 국비 공모 사업 유치 등의 예산절감 및 재원확충 방안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계획에는 도내 문화체육시설의 입장료를 인상하는 등 도민에게 경제적 부담을 안기는 방안도 포함됐다.
경기문화재단은 재정확충을 위해 박물관과 미술관 등 도립 문화시설 입장료를 인상할 계획이다.
지난 2011년 유료화된 도내 문화시설 입장료는 성인 1인 기준 4천원으로 도민은 50% 할인된 2천원에 미술관과 박물관을 이용할 수 있다.
입장료 수입은 2011년 6억8천만원, 지난해 17억원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재단은 입장료 인상을 통해 20억원까지 수입을 늘리기로 하고, 현재 인상폭을 검토중이다.
경기도청소년수련원도 3년째 동결된 시설 사용료를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사용료는 초등학생의 경우 숙박비, 식비, 수련활동비 등을 포함해 1박2일에 2만2천600원이다. 국립수련원은 3만3천400원이다.
도청소년수련원은 운영보조금과 수입이 매년 감소되고 있어 사용료 현실화가 불가피하는 입장이다.
산하기관 관계자는 “입장료 인상은 재원확보 차원 뿐 아니라 문화콘텐츠를 공짜가 아닌 ‘내 돈 내고 제대로 보기’를 통해 가치를 높이려는 뜻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도민에게 경제부담을 주는 쉬운 방법 말고 더욱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