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하루를 앞둔 29일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의혹을 둘러싼 정치 공방을 계속했다.
이날 여야 간 공방은 재·보궐선거 막판 현장 지원과 병행하는 ‘공중전’의 성격이 가미됐다.
새누리당은 검찰 댓글수사팀의 증거물 오류를 조목조목 지적하는 동시에 북한 사이버 공격의 심각성을 부각하며 국정원과 국군사이버사령부 활동의 불가피성을 항변하면서 모처럼 회복 기미를 보이는 경제 여건을 앞세우며 정쟁 중단을 촉구했다.
반면 민주당은 박근혜 대통령이 정국 현안에 대해 침묵을 지키는 점을 집중적으로 비판하는 한편, 최근 감사원장·검찰총장 등 사정기관장 인사가 특정 지역에 편중됐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국회 국감종반대책회의에서 “한국은행 발표에 의하면 소비자 심리지수가 1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면서 “지금이야말로 놓쳐서는 안 될 민생 경제 정책의 입법 타이밍”이라고 말했다.
이어 윤상현(인천남을) 원내수석부대표는 “검찰이 공소장 변경을 신청하며 제시한 5만5천여 트위터 글 가운데 1만5천여건이 국정원 직원이 아닌 전혀 다른 사람의 글로 확인됐다”면서 “신원 불상의 사람을 국정원 직원으로 지목해 공소장 변경을 신청한 것은 참으로 황당하다”고 지적했다.
윤 부대표는 이어 “더욱이 대선 직전 7일간 쓴 것은 13건에 불과하고 그 글 자체도 선거와 관련 없다”면서 “일방적 주장을 뒤집는 반대 증거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비상국회운영본부회의에서 대선 개입 의혹과 전날 정홍원 국무총리의 정국 관련 대국민담화를 언급, “국가기관의 선거 개입과 관련해 대통령은 손톱만큼도 입장 변화가 없다는 것만 확인했다”면서 “박 대통령의 침묵은 해법이 아니라 문제이고 약이 아니라 독”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한마디로 시간벌기용 대국민이벤트, 정국호도용 물타기 담화였다”면서 “검찰 수사를 자신들 입맛대로 요리해 흐지부지 만들고, 선거개입 사건을 뭉개고 가겠다는 것이고 국정원 개혁을 회피하겠다는 것이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전 원내대표는 또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 및 김진태 검찰총장 후보 지명 등과 관련, “PK(부산·경남) 향우회 인사는 또 한번의 인사 참사”라면서 “능력이 아닌 말 잘 듣는 사람을 찾다보니 지연·학연에 의존하고 이런 향우회 동문회 인사한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