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가 고양시의 공용 스마트폰 사용 실태에 대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시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홍보를 위해 대량 구매했으나 실제 활용도가 떨어져 예산을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30일 시에 따르면 국민권익위원회 부패방지팀 소속 조사관 2명이 지난 24일부터 시를 방문, 일선 공무원에게 지급한 공용 스마트폰의 예산 낭비와 사적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다.
시는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공용 스마트폰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10년 10월 20대를 첫 구매한 데 이어 2011년 3월 20대, 지난해 9월 40대를 추가 구매하는 등 모두 80대의 공용 스마트폰을 운용하고 있다.
구매조건은 대당 월 5만7천원으로, 시는 지난달까지 모두 1억269만원의 요금을 냈다.
당초 공용 스마트폰 구입은 SNS를 활용해 시정을 홍보하고 현장 민원처리에 활용하자는 취지였다.
그러나 권익위 조사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시가 매달 약정 요금을 시 예산으로 낸 것으로 드러나 예산 낭비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무료통화 기준인 한 달 30분 사용하지 않은 공용 스마트폰도 17대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4대 중 1대꼴이다.
특히 권익위는 시가 첫 구입한 20대 외에 추가로 구입한 60대의 공용 스마트폰이 과도하게 지급된 예산 낭비 사례로 보고 있다.
향후 권익위는 공용 스마트폰을 가족이 쓰도록 하는 등 사적 사용 부분에 대해서도 실태를 확인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