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표 회담이 국회 정상화에 대한 구체적 성과 없이 ‘빈손 회동’으로 끝났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25일 대치 정국을 풀기 위한 회담을 했지만 국가기관 대선 개입 의혹 수사를 위한 특검 도입 문제를 놓고 의견 대립으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김 대표는 국회 귀빈식당에서 50분간 진행된 회담에서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로 ‘4인 협의체’를 구성해 이 협의체 산하에 ▲대선 개입 의혹 특검 도입과 국회 국가정보원 개혁특위 신설 ▲새해 예산안과 주요 법안 심의 방향 ▲기초단체 정당공천 폐지를 위시한 정치 개혁 문제를 논의할 기구 3개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이같은 제안에 대해 황 대표는 당내 의견을 물어 3~4일 내로 김 대표에게 답변을 주겠다고 말했다고 새누리당 유일호·민주당 김관영 대변인이 공동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4인 협의체 산하에는 이들 3대 의제를 각각 논의할 기구 3개가 함께 구성된다고 김 대변인은 설명했다.
황 대표도 “여당이 어렵게 특위를 수용한 만큼 전례대로 (정치 쟁점과) 예산안을 분리해 조속한 심의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제의했지만, 이에 대해 김 대표는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의 이날 제안은 결국 특검과 특위를 동시에 운영해야 한다는 기존 주장의 틀을 사실상 그대로 유지한 일부 절충안으로 새누리당은 받아들이고 있다.
황 대표는 회담에서 정기국회 정상화를 전제로 한 특위 수용은 가능하지만, 특검 도입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김 대표에게 다시 한 번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배석자 없이 비공개로 열린 이날 여야 대표 회담은 지난 11일 황 대표가 민주당 여의도 당사로 김 대표를 찾아가 회담한 지 2주 만에 열렸다.
회동에 앞서 황 대표는 모두 발언에서 “원만한 국정운영을 바라는 국민의 바람에 정치권이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고 있어 송구스럽다”면서 “여야 대표들도 이 문제에 대해 큰 책임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제라도 정치가 제자리를 찾아 더 큰 혼란을 막아야 한다”면서 “대선 관련 의혹사건은 특검에, 또 재발방지 등 제도개혁은 국회 국정원개혁특위에 각각 맡기고 여야는 민생경제를 살리는 법안 및 예산 심의에 전념하자”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