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정원개혁특위는 9일 오전 전체회의에서 민주당 정세균 의원을 위원장으로 공식 선출하고 향후 활동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으나 첫날부터 회의 공개 여부 등을 두고 여야간 날선 신경전이 벌어졌다.
국회법에 따라 최연장자인 새누리당 송영근 의원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회의에서 특위 위원들은 민주당이 추천한 정 의원을 위원장으로 만장일치로 선출했다.
정 위원장은 “그동안 국정원 개혁을 위한 시도와 기회가 여러 번 있었지만 그 때마다 미완에 그쳤다”면서 “이번이 국정원 개혁의 마지막 기회란 생각으로 국민이 두려워하는 국정원이 아니라 국민이 믿고 기댈 수 있는 국정원으로 거듭나도록 힘을 모아 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위원회의 목표가 국정원 본연의 역할과 기능을 약화시키는 게 아니라는 것”이라며 “국정원의 대북 정보력이나 국외 정보력을 강화하되 국내 정치 개입을 금지하는 것이 우리목표가 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위는 이날 여당 간사로 김재원 의원을, 야당 간사로 문병호(인천부평갑) 의원을 각각 선출했다.
하지만 첫날부터 회의 공개 여부 등을 두고 여야간 날선 신경전이 벌어졌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특위가 운영되는 과정에서 국정원 예산과 조직 등이 공개되면 국정원 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고 회의를 전면 비공개할 것을 주장했지만 야당은 공청회나 법안심사 등을 공개해 특위 활동이 투명하게 이뤄지게 해야 한다고 맞섰다.
특위는 10일 국정원이 자체 마련한 개혁안에 대해 보고받고 본격적인 개혁방안 협의에 착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