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과 주민들의 신뢰행정의 기본은 중앙정부의 정책이행 여부에 있다. 정부는 동두천의 미군부대를 평택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한 후 추진해 왔다. 2004년 확정·공표한 미군 재배치 계획에 따라 시는 동두천발전종합계획을 꼼꼼히 추진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 들어 한미연합사단 창설부대의 동두천 주둔 언급에 이은 미8군사령부의 잔류 검토 때문에 이러한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게 생겼다면서 당초 계획대로 미군부대를 이전하라는 범시민 궐기대회가 연이어 개최되는 등 지역민의 불만 목소리가 하늘을 찌른다.
동두천시는 군사시설보호구역 등 각종 규제와 함께 기지촌의 오명 속에 도시발전 저해와 시민들의 생활이 열악하다. 동두천시에 미군의 주둔은 60여년이나 되었으며 현재는 미 보병 2사단이 주둔 중이다. 이들을 상대로 하는 상점과 클럽, 매춘업소 등은 지역발전을 저해할 뿐이다. 여기에 미군의 시민 폭행, 강간, 살인 등은 더욱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는 여학생과 노부부의 성폭행 문제는 사회불안을 가중시켜간다. 지역의 왜곡된 이미지 개선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지역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명심해야한다.
전국 지자체 중 최하위의 열악한 재정형편에도 불구하고 미군에 대하여 세금부여와 정부의 지원이 전혀 없는 한심한 실정이다. 반면에 평택시와 용산은 현재 미군과 관련하여 국비를 지원받고 있다. 특히 동두천시에는 미군기지가 시 전체면적의 42%를 점유하고 있어 도시개발정책을 수립할 수 없으며, 그들이 자행하는 다양한 역기능에 시민들은 괴로워할 뿐이다. 생산시설이 없어 고용기회를 기대할 수 없는 살기 힘든 도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당초 계획대로 평택기지로 이전하는 길 뿐임을 강조한다. 미군기지 이전을 통한 생산적이고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가야 하는 시민의 요구와 당위성을 정부는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
도시산업구조 왜곡현상도 심각하여 제조업체가 8%에 불과함도 미군부대 때문이다. 시의 대부분 지역이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데다 수도권정비계획법, 산림법 저촉도 받고 있어 개발은 고사하고 시민불편이 극에 달하고 있다. 미군의 동두천 주둔 연기를 할 경우 시민들의 불만은 폭발할 것이며, 희생을 강요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하루속히 당초 계획대로 동두천 미군부대를 이전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