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조선시대 서점은 왜 성장하지 못했을까?

국가 소유물이던 조선의 금속활자
민간에 지식 확산하는 용도는 아냐
국가가 지식의 공급처·유통 주체로
극소수 지배세력의 책만 찍어냈다

 

조선시대 책과 지식이 어떤 생산-유통-소비 과정을 거쳤는지 살펴보고, 이를 단서로 조선 역사를 새롭게 읽어내려한 책.

고려의 금속활자가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보다 훨씬 앞서 발명됐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다. 조선은 이러한 ‘인쇄물의 대량 생산’을 가능케 하는 금속활자, 배우고 쓰기 쉬운 세계 최고 수준의 문자 한글 등 전사회적으로 지식 보급에 상당히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하지만 서구 사회와 달리 조선의 출판과 인쇄, 지식의 역사는 민간에 활발히 확산되지 않았다. 조선의 금속활자는 국가 소유물이었고, 민간에 지식을 확산하는 용도와는 거리가 멀었기 때문이다.

중국은 송대에 이미 민간의 출판사와 서점이 존재했으며, 일본은 도쿠가와 막부 이후 민간에서 출판사와 서점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이에 반해 조선은 민간 영역의 출판이 국가의 출판 독점을 압박, 능가하거나 전복시킬 정도로 성장한 적은 없었다.

출판물의 성격으로 볼 때 도리어 국가가 담당하지 못한 부분을 보완하는 역할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다.

또 당시 인쇄물은 대부분 소수 특권층이나 이해할 수 있는 한문으로 쓰였다. 한글 활자는 한문으로 된 책을 국문으로 풀이한 언해본을 인쇄할 때 주로 사용된 정도였다.

저자는 금속활자 인쇄가 민간에 급속도로 확산한 서양과 달리 조선은 금속활자를 국가가 독점하면서 오히려 중세 질서를 고착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고 지적한다.

이는 국가가 지식의 공급처이자 유통 주체라는 뜻으로, 극소수 지배세력의 체제 유지에 도움이 될 만한 책만 찍어냈다는 것이 그의 분석이다. 아울러 당시 책값이 우리의 상상 이상으로 비쌌다.

다만 저자는 이처럼 서적의 인쇄·출판·보급에 국가적 차원에서 의미를 부여하고 인쇄기관과 인쇄술을 갖춘 나라가 중국을 빼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조선의 서적 문화 자체는 매우 우수한 편이었다고 평가한다.

책 속에는 희귀한 고서들의 자료 사진과 관련 그림이 곁들여져 당시 책을 둘러싼 사람들의 일상을 생생히 보여준다.

수입한 중국서적에 오자가 많아 사신에게 항의한 사건(234쪽), 전란 때 불타 소실된 책들로 인해 책이 없어 과거를 못 치른 사람들의 이야기(513쪽), 서점 설치를 두고 벌어진 논란과 결국 만들어지지 못한 이유(378쪽), ‘거대한 책의 바다’였던 조선의 홍문관(도서관)이 장서를 축적한 방법(409쪽), 실제 붉은색으로 표시한 교정 흔적과 교정·조판한 사람의 이름이 적힌 교정지(240, 249쪽), 고서의 간기(판권)에 남은 인쇄·조판 장인의 이름과 당시 방식을 재현해 책을 만드는 모습(276~279쪽) 등이 담겨 있어 읽는 재미를 더한다./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