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6일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나타냈다.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을 ‘소통의 자리’로 평하면서, 주요 국정 과제에 대한 국회의 대승적 협력을 강조한 반면 민주당은 “일방적 메시지 뿐”이라고 논평했다.
새누리당 유일호 당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집권 2년차를 맞아 박근혜정부의 국정운영 방향과 철학을 국민에게 보고하고 공유하며 더 나아가 국민의 행복과 나라의 발전을 위해 국정에 더욱 매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자리였다”고 말했다.
특히 박 대통령이 밝힌 ‘경제혁신 3개년 계획’, ‘공공기관 정상화 개혁’, ‘설맞이 남북이산가족 상봉 제안’에 대해 “속도감 있는 후속 조치가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대변인은 “오늘 기자회견이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평소 ‘국민이 모르는 정책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라고 강조해 온 만큼 주요 정책에 대한 지지와 공감대를 넓히기 위해 박 대통령이 직접 국민 앞에 설명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이 자주 열리기를 기대 한다”고 희망했다.
유 대변인은 이어 “국정 운영은 2인3각 경주와도 같아 정부가 아무리 좋은 정책을 내놓아도 국회의 협조가 뒤따르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면서 “야당은 민생문제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는 인식 하에 성숙한 국회에 동참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반면 민주당은 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 대해 “국민이 원하는 얘기가 아닌 대통령의 일방적 메시지만 담겨 있는 것 같아 아쉽다”고 비판했다.
김관영 대변인은 기자회견 직후 “취임 후 처음으로 기자회견을 한 것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해 줄 수 있지만,오늘 회견에서 국민이 듣고 싶었던 얘기는 담겨 있지 않았다”고 논평했다.
김 대변인은 “국민은 경제민주화, 복지 확대, 인사 대탕평 등을 통한 구체적인 국민 대통합 방안을 회견에서 제시하기를 기대했다”며 “그러나 대통령은 이와 관련한 제대로 된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고 말했다.
통일 문제에 대해서도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검 수용 요구나 노사관계의 회복을 위한 사회적대타협위원회의 구성 요구를 사실상 거부한 것도 매우 실망스러운 점”이라고 지적했다./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