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4.3℃
  • 구름많음강릉 26.3℃
  • 구름조금서울 23.5℃
  • 맑음대전 24.9℃
  • 맑음대구 23.5℃
  • 맑음울산 24.1℃
  • 맑음광주 23.2℃
  • 맑음부산 19.5℃
  • 맑음고창 23.4℃
  • 구름많음제주 18.8℃
  • 구름조금강화 22.3℃
  • 맑음보은 24.4℃
  • 맑음금산 25.7℃
  • 맑음강진군 22.7℃
  • 맑음경주시 26.9℃
  • 맑음거제 21.1℃
기상청 제공

 

유네스코는 유엔창설 50주년이자 마하트마 간디 탄생 125주년이던 1995년을 ‘관용을 위한 국제연합의 해’로 정하고 그해 11월16일을 ‘국제관용의 날’로 지정했다. 국제사회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자는 의미에서였다. 유네스코는 이를 계기로 2세들에게 관용 교육을 시킬 것을 끊임없이 강조하고 있다. 관용은 인권을 비롯해 평화, 민주주의 등 많은 가치와 맞닿아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링컨은 관용의 사람이라 불릴 정도로 상대방을 배려했다. 또 그는 자신과 대립관계에 있는 사람을 공적으로 비난하지 않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원수는 마음에서 없애야 한다는 그의 생활신조가 관용의 덕목을 키웠으며 더 나아가서 그 원수마저 바로 친구로 만들어버리는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게 됐다는 것이다.

관용은 프랑스말로 톨레랑스(tolerance)라고도 한다. 이 말은 ‘존중하시오. 그리하여 존중하게 하시오!’라는 뜻을 품고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의 자유 및 다른 사람의 정치적, 종교적 의견의 자유를 존중하여 주자는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

우리는 자기와 다른 의견을 보이면 자신에 대한 도전이나 비난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갈등은 이같이 ‘다른 것은 곧 나쁜 것’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관용과 톨레랑스는 자기 자신의 생각과 행동만이 옳다는 독선의 논리로부터 스스로 벗어나기를 요구하고, 자신과 다른 것들도 인정하라는 정신이 함축 되어있다.

그러나 ‘관용’의 실천에도 함정은 있다 “신의를 헌신짝처럼 버리는 사람에 대해서는 관용을 베풀어선 안 된다”는 말이 있듯이 사회의 불의를 용인하는 방향은 관용의 범주에서 제외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관용은 여전히 우리사회에서 타인에 대한 인격적 태도인 동시에 나와 우리를 성장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도 작용한다. ‘관용지수’가 한 나라의 사회통합력을 가늠하는 잣대로 쓰이는 것도 이 같은 이유다.

우리나라는 불행하게도 이 관용지수가 OECD 31개 회원국 중 꼴찌 수준이다. 8일 한국경제학회가가 발표한 지표에 따르면 1995년 25위에서 지난해 31위로 내려갔다. 사회통합을 외쳤던 그동안의 노력이 허사인 것 같아 씁쓸하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