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학습부진 주 원인은 ‘부모 학력·소득’

경기도교육硏 “사회경제적 배경 가장 큰 영향”
개인·학교 탓 인식 뒤집어… “보상차원 지원 필요”

학생의 학습능력 부진 원인이 개인이나 학교 탓이 아니라 소득이나 부모 학력 등 사회 탓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11일 재단법인 경기도교육연구원이 수행한 ‘학습부진 학생 실태와 지원방안’(연구책임자 이혜정 부연구위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중학생의 학습부진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구 소득, 부모 학력 등 사회경제적 배경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결과는 종전 교육당국 평가나 교사·학생·학부모 설문조사에서 모두 개인이나 학교를 가장 원인으로 꼽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지난해 10∼11월 진행된 경기지역 교사(4천272명), 학생(5천705명), 학부모(2천912명) 대상 학습부진 원인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빈곤(1.4∼2.4)과 열악한 지역환경(1.6∼2.3) 등 사회적 요인보다 학습능력 부족(2.3∼3.1), 노력 부족(2.6∼3.4), 학습동기 부족(2.1∼3.4), 주의 산만(2.0∼3.3) 등 개인적 요인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그러나 2012년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공부시간, 독서 정도, 문화활동 정도 등이 동일할 때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국어, 영어, 수학 성적이 하위 10% 또는 20% 이하에 해당할 확률을 1.3∼1.8배가량 높이는 것으로 나왔다.

사회경제적 배경은 부모의 학력과 가구소득으로, 각각의 표준점수를 평균해 연구분석에 적용했다.

연구원은 “학습부진의 주요 원인이 학생이 처한 사회구조적 조건이라면 보상 차원의 지원이 이뤄지는 것이 마땅하다”며 “열악한 사회경제적 상황에서 결핍된, 다양한 형태의 돌봄과 교육적 지원을 학교교육과 사회복지로 보충할 때 제대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단기 실적에 치중하면 학습부진 지도대상 학생들이 낙인감을 갖게 된다”며 “학습부진 지도대상 범위를 기초학력 하위 20% 수준으로 확대해 낙인감 없이 성장하게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지난해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전국 평균은 3.4%로 전년보다 0.8%p, 경기도 평균은 4.3%로 전년보다 1.1%p 각각 증가했다.

교육정책당국은 이와 관련해 부모와의 대화나 활동,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참여, 교사와의 관계, 수업 태도, 학업 효능감, 교과 흥미와 가치, 학교생활 행복도 등이 높을수록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낮은 것으로 판단했다.

/정재훈기자 jjh2@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