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돌아오지 못한 아들, 딸을 기다리는 마음은 그 일을 겪어본 부모만이 알 수 있었다.
세월호 침몰 사고로 활짝 피지도 못한 아이들의 목숨이 하늘나라로 간 지 16일째인 1일 오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화랑유원지에 마련된 합동분향소 앞에는 세월호의 침몰을 가장 먼저 119에 신고해 수많은 승객을 살린 고(故)최덕하 군의 아버지 성웅(52)씨가 진도행 버스에 올랐다.
최성웅 씨는 “추모공원이나 보상 같은 문제보다 실종학생 구조가 우선 아닙니까. 아직 돌아오지 못한 아들, 딸을 기다리는 가족들과 슬픔을 나누고자 다시 진도로 갑니다”라고 말했다.
동병상련의 마음을 나누는 가족은 최씨 만이 아니었다.
이번 사고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들의 유족들이 탈 45인승 관광버스 4대가 줄지어 서 있었고 그 옆으로 최씨 등 유족들이 도화지와 유성펜, 생수통 등을 차에 싣느라 분주했다.
이들은 전라남도 진도 팽목항에서 실종학생들의 무사귀환을 염원하는 글귀가 적힌 티셔츠 65개를 나눠 입고 ‘우리의 아들, 딸을 엄마 품으로’ 등의 문구를 적은 피켓 30여 개를 들고서 실종학생 가족들의 곁을 지키다 밤늦게 돌아올 예정이다.
이날 진도행 버스에 몸을 실은 유족들 중에는 이미 진도에 다녀온 사람도 있었다.
2학년 4반 유족 대표 김모씨는 “아들의 장례를 치르고 나서 가만히 있을 수 없어 지난 주말 진도에 다녀왔다”며 “이번에는 다른 가족들도 함께해서 실종학생 가족들에게 더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다행이다”고 말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자식을 먼저 하늘나라로 보낸 부모들의 마음은 모두 같았다.
160여명의 유족들이 탄 버스가 떠난 자리에는 ‘근로자의 날’을 맞아 직장 동료들이 함께 탄 차량들이 연이어 들어오면서 빈자리를 메웠다.
안산의 한 가스누설 경보기 제작업체 직원 40여명도 아픔을 나눴다.
부사장 최동진(49)씨는 “주말에는 외지에서 오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 그분들의 조문을 방해하지 않으려고 오늘 오게 됐다”며 “오늘은 근무를 하지 않지만 우리 지역 학생들이 많이 희생돼 안타까운 마음에 직원들과 조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29일 합동분향소가 차려진 이후 오전 10시 현재까지 4만9천427명이 이곳을 다녀갔으며 올림픽기념관 임시분향소를 찾은 조문객까지 합하면 누적 조문객 수는 22만9천여명이다.
/안산=김준호·김지호기자 jh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