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인도양 해저 광구 확보 “노다지 캔다”

해수부, 국제해저기구와 협약…여의도 면적 3천448배에 달해
금·은·구리 등 함유 해저열수광상 탐사…미래 전략자원 선점

우리나라가 인도양 공해상 중앙해령지역에서 여의도 면적의 약 3천448배에 달하는 1만㎢ 규모의 해저열수광상 탐사광구를 단독으로 탐사할 수 있게 됐다.

해저열수광상이란 수심 1천~3천m에서 마그마로 가열된 열수가 온천처럼 솟아나는 과정에서 금속이온이 차가운 물과 접촉하면서 침전돼 형성되는 광물자원으로, 금과 은, 구리 등 주요 금속을 함유하고 있어 차세대 전략 자원으로 꼽히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5일 국제해저기구(ISA)와 인도양 공해상 해저열수광상 개발을 위한 탐사계약을 24일(지메이카 현지시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이번 인도양 해저열수광상 탐사광구 확보는 태평양 망간단괴 독점광구, 통가 EEZ 해저열수광상 독점광구, 피지 EEZ 해저열수광상 독점광구에 이어 4번째로,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남한면적(약 10만㎢)의 1.12배에 달하는 11.2만㎢의 광활한 해외 해양광물 탐사광구를 확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중국과 러시아에 이어 3번째로 공해상에서 망간단괴와 해저열수광상 탐사광구를 모두 확보한 나라가 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을 선도할 수 있는 역량도 입증받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해당지역(30만㎢)에 대한 탐사를 벌이고, 이 가운데 유망지역(1만㎢)에 대해 2012년 ISA에 독점탐사권을 신청했다.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2029년까지 15년간 독점탐사광구 1만㎢에 대해 정밀탐사를 실시한 뒤 최종 개발지역 2천500㎢를 선정해 개발권을 ISA에 신청할 계획이다.

문해남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은 “미래 전략자원인 심해저 광물자원을 선점, 개발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현재 함께 진행 중인 심해저 광물자원 탐사장비의 개발을 통해 앞으로 해당 장비의 수출효과뿐만 아니라 조선, 항공, 우주 등 극한환경 분야로의 기술 응용 및 파급 효과도 크게 기대된다”고 말했다.

/안산=김준호기자 jhkim@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