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기지역본부가 6·4 지방선거 이후 도내 시·군에서 자행되고 있는 정실·불공정·보복성 인사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전공노 경기지역본부는 10일 성명서를 내고 “자치단체장은 공무원 자살로 이어진 줄 세우기, 보복인사를 중단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제도 및 정책을 시행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지난 1일 이후 새로운 단체장 취임과 함께 도내 각 자치단체에서 보복성 인사, 학연·지연·혈연 등 특정 관계에 편중된 인사, 선거관련 인사 등이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자지단체장의 정치적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 조직개편을 통한 인사, 자기사람 끌어들이기 인사는 공직사회를 자치단체장의 사조직화 하는 것”이라며 “이는 직원간 파벌형성과 위화감을 조성하고, 자치단체장에 충성만을 강요하는 복지부동 공무원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 같은 문제는 자치단체장들의 제왕적 권한과 맞물려 그 폐해가 더욱 커져 안양시의 한 공무원을 자살이라는 극단적 상황으로 내몰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이 지적한 도내 지자체는 안양시를 비롯한 광명시, 화성시, 의왕시, 과천시, 오산시, 평택시 등이다.
안양시의 경우 보복성·줄 세우기식 인사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대기발령으로 인해 공무원이 자살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전공노 경기지역본부는 “공무원은 어느 특정인, 특정단체의 사조직일 수 없다. 법과 원칙에 근거해 국민과 시민들에게 소신 있는 행정을 펼칠 때 모두가 행복한 공정한 시정이 펼쳐질 것”이라며 ▲선거과정에서 불거진 보복인사, 보은인사 즉각 중단 ▲공직사회를 파탄으로 몰고 가는 길들이기 정실인사 등 중단 ▲인사위원회의 공무원단체 참여 등 공정한 인사를 위한 인사제도 및 공정한 인사정책 수립 시행을 촉구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