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진통속에 7·30 재·보선 공천을 마무리했지만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10일 당내에선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의 광주 광산을 전략공천을 비롯해 공천 과정 전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권 전 과장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사표 수리시까지 철저하게 국가공무원으로서 행동했고 출마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면서 “보다 넓게 사회적 책임감을 느껴야 된다는 판단을 하게 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광주 출신의 박혜자 최고위원은 권 전 과장에 대해 “‘광주의 딸’이 아닌 ‘대한민국의 딸’로 (권은희 카드를) 썼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정동영 상임고문도 YTN에 출연 “진실을 밝히려 했던 그의 노력이 여당 공세에 휘말릴 빌미를 준 점은 안타깝다”고 밝혔다.
정 고문은 그러면서 “공천 과정에서 변화와 견제라는 재보선의 의미가 실종됐다”며 “이대로는 선거에서 완승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김태년 의원도 같은 프로그램에 나와 “원칙과 명분이 좀 부족했다”며 “상향식 공천의 원칙을 지켰으면 비난이 덜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원식 최고위원도 교통방송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내부 구성원들이 동의하지 못하는 공천작업이 진행됐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가운데 안철수 대표측 문병호 비서실장과 이종걸 의원은 전날 밤 광주로 내려가 공천에서 배제된 천정배 전 의원을 만나 위로의 뜻을 전하고 권 전 과장 지원을 부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동민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의 서울 동작을 공천에 반발, 무소속 출마를 시사했던 허동준 전 지역위원장도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불출마를 선언해 이 지역의 공천 파동은 일단 봉합 국면을 맞았다.
그러나 수원정(영통)에 공천 신청했던 김재두 전 수석부대변인은 공천 결과에 반발해 탈당하고 무소속 출마를 선언, 후폭풍은 계속되고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