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과 정의당이 7·30 재·보궐에서 야권연대 문제를 풀어낼 실마리를 좀처럼 찾지 못하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 새정치연합은 울산 남구을을 제외한 14곳에 후보를 냈으며, 정의당은 6곳에 후보를 출마시켰다.
새정치연합 입장에서는 승리를 위해 정의당과 연대를 통한 후보 단일화가 절실하지만 해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수도권을 비롯한 박빙의 승부처에서 야권 표분산은 패배로 직결될 가능성이 큰 만큼 야권연대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새정치연합 주승용 사무총장은 13일 “일대일로 대결해도 쉽지 않은데, 조금이라도 표가 갈리면 문제가 심각해진다”면서 “야권연대가 승패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의당은 새정치연합에 당 대 당 협의를 공식 제안한 상태이다.
새정치연합도 “선거 중 자연스럽게 구도가 만들어질 것”이라며 가능성을 열어두는 모습이다.
실제로 최근 새정치연합 주 사무총장이 정의당 심상정 원내대표를 비공개로 만나 연대 구상에 대한 얘기를 나누는 등 탐색전을 벌이기도 했지만 현실은 낙관적이지 않다.
우선 새정치연합과 정의당은 연대의 형태에 대해 ‘동상이몽’ 모양새이다.
정의당은 노회찬(동작을)·천호선(수원정) 후보 중 한명 이상은 단일 후보가 돼야 한다는 입장으로 알려졌지만, 새정치연합으로도 서울 동작을과 수원정은 전략지역이기 때문에 포기하기 어렵다.
특히 동작을의 경우 정의당은 노 전 대표의 귀환이 절실하다는 점에서, 새정치연합은 ‘공천 파동’까지 겪어가며 어렵게 후보를 세웠다는 점에서 내심 상대 당이 물러서기를 바라고 있어, 협의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심상정 원내대표는 이날 “동작을의 노회찬 후보와 수원 영통의 천호선 후보 두 사람이 국회에 들어가는 것이 야권 혁신”이라며 야권 연대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정치연합 안철수 공동대표는 재·보선 선거 전망에 대해 “냉정하게 보면 전체 15석 가운데 5곳만 우리가 갖고 있던 데라서 현상유지만 해도 잘 하는 선거”라고 말했다.
안 대표는 이날 여의도 한 커피숍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공천 과정을 겪으며 미리 사전조사를 했는데 다 어려웠다. 시기적으로도 휴가철이지 않나”라면서 ‘어려운 선거’임을 강조하며 이같이 내다봤다.
그러면서 “선거 때마다 새누리당은 엄살을 피워놓고 그보다 성적이 좋으면 스스로 면죄부를 주면서 국정운영을 밀어붙인다”며 “반대로 야당은 굉장히 많이 이긴다고 기대치를 높인 다음 실제로 이겼는데도 기대치에 못 미친다고 스스로 벌을 준다. 굉장히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