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3일 변사체로 발견된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신원이 40일이나 지난 뒤에야 확인된 것을 놓고 공방을 펼쳤다.
여야는 검·경의 부실 수사와 관련한 책임자 문책 필요성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인식을 같이했다.
다만 검·경의 부실수사가 드러나면서 새정치연합은 세월호특별법에 담길 진상조사위에 수사권을 부여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고 압박을 강화한 반면, 새누리당은 ‘수사권 불가’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날 수원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에서 유씨가 변사체로 발견된 것과 관련, “사실 관계가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면서도 “야당은 각종 의혹과 루머를 확산시키지 말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김 대표는 “세월호의 아픔을 선거에 악용하는 것은 희생자의 명예를 훼손하고 유가족을 더 아프게 하는 것으로 자제를 촉구한다”면서 야당을 겨냥했다.
앞서 김 대표는 전날 울산 유세에서 “40일이 넘도록 시체가 누구 것인지 제대로 확인조차 못 하는 대한민국 경찰의 잘못, 누군가 책임져야 하지 않겠느냐”며 경찰 책임론을 제기했다.
이인제 최고위원도 이날 회의에서 “경찰이 무한책임을 통감해야 하고, 책임 있는 모든 사람은 엄중한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도 야당에 대해서는 “이 사태를 정략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검사 출신의 경대수 의원은 MBC라디오에 출연, 야당이 이번 사건과 관련해 세월호특별법 진상조사위 수사권 부여 요구 목소리를 높이는 데 대해 “경찰이나 검찰의 실수가 크다고 해서 수사권을 진상조사위로 옮기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 유기홍 수석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또 하나의 참사로 ‘유병언 참사’로 불러 마땅하다”면서 “이 정부의 무능과 무책임이 어디까지인지 절망스러운 수준”이라고 논평했다.
그러면서 “검거 실패와 사체 발견은 청와대와 정부의 시스템 붕괴를 재확인하는 것”이라면서 책임자 경질 등을 촉구했다.
김한길 공동대표는 이날 7·30 대전 대덕구 보궐선거에 출마한 박영순 후보 선거사무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유병언 미스터리가 숱한 괴담과 의혹을 낳는다”며 “국민의 의혹과 당혹감에 대해서 유병언 체포를 독려한 대통령이 답해야 한다. 대통령이 답해야 할 일이 하나 더 늘어난 셈”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세월호 참사 발생 100일을 하루 앞뒀지만 여야의 세월호특별법 협상이 교착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새누리당 주호영, 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 정책위의장과 새누리당 홍일표, 새정치연합 전해철 의원은 23일 국회에서 ‘2+2’ 협상을 이어갔다.
양측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핵심 쟁점인 조사위원회 수사권 부여 문제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