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학교급식 식중독 누적 발생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소속 새누리당 한선교(용인병)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학교급식 식중독 누적 발생 수는 경기도가 36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천 19건, 서울 18건, 부산 17건 순이었다.
하지만 식중독이 발생해도 시도교육청 조치의 대부분은 ‘위생관리 철저지시’로 실제로는 아무 구속력이 없는 ‘훈계’ 수준이었고, 더 심각한 경우에나 교장이나 영양교사에게 주의나 경고를 주는 경징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자체 조치는 조리인력의 업무·면허정지나 학교에 대한 과태료 처분 등 좀 더 실질적인 징계이지만 그 횟수는 교육부 조치보다 확연히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 의원은 “식중독은 관리의 문제이기 때문에 학교 급식에 위생관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다”며 “학교는 위생에 대한 관리 감독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고, 교육청과 지자체는 식중독이 발생한 학교에 대해 더 강력하게 처벌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현재까지 학교별 식중독 발생 현황은 경기도가 8건, 서울 3건, 인천 10건 등 총 35건이 발생했으며, 교육청 및 지자체가 조사 중에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