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감소세를 보이던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새 아파트의 꾸준한 공급과 함께 석 달째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국토교통부는 7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5만1천287가구로 전달보다 2.0%(1천30가구) 늘었다고 26일 밝혔다.
신규 미분양 등 증가분은 수도권 563가구, 지방 6천262가구 등 6천825가구나 늘었는데 기존 미분양은 수도권에서 3천978가구, 지방에서 1천817가구 등 5천795가구 줄어드는 데 그쳤기 때문이란 분서이다.
이에 따라 작년 9월부터 8개월간 감소세를 보였던 미분양 주택은 5월부터 석 달 연속으로 증가했다.
미분양 물량은 수도권에선 감소했지만 지방에서 크게 늘면서 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수도권의 미분양은 전달보다 11.3%(3천415가구) 감소한 2만6천797가구로 집계됐다. 김포·파주·평택 등 경기와 인천에서 미분양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실제 지난달 김포에서 1천45가구, 파주 649가구, 평택 625가구를 비롯해 인천과 서울에서도 각각 652가구, 133가구의 미분양이 해소됐다.
지방의 경우 대구, 광주, 세종, 경북 등에서 미분양이 늘면서 전달보다 22.2%(4천445가구) 증가한 2만4천490가구를 기록했다.
지난달 대구에서는 1천400가구, 광주에선 548가구, 세종에선 1천42가구, 경북에선 454가구의 신규 미분양이 발생했다.
규모별로 미분양 물량을 보면 전용면적 85㎡이하 중소형은 전달보다 4.6%(1천415가구) 증가한 3만2천121가구였고, 85㎡초과 중대형은 전달보다 3.4%(680가구) 줄면서 1만9천166가구로 집계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반적인 주택 시장 여건이나 구매 심리가 위축된 영향이라기보다는 세종·대구 등 최근 대규모로 주택 공급이 이뤄진 특정 지역에서 미분양이 많이 생기면서 전체적으로 미분양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부 국토교통통계누리(stat.molit.go.kr) 및 온나라 부동산포털(www.onnara.go.kr)에서 볼 수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