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정부, 내년 살림살이 376조 편성… 경제·안전·서민생활에 집중

복지비중 첫 30% 넘어
안전은 17.9%나 증가
국가채무 570조로 늘어
재정건전성 악화 우려

 

내년 예산안이 올해보다 5.7%(20조2천억원) 늘어난 376조원으로 편성됐다.

정부는 18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년 예산안을 확정하고 오는 23일까지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정부는 내년 예산을 경제 활성화, 안전, 서민 생활 안정 등에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비정규직·실업자·저임금 근로자를 위한 생활안정 3종 지원 제도를 도입한다.

비정규직 고용안정과 처우 개선을 위해 중소·중견기업 사업주가 비정규직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한 뒤 정규직과의 임금 차별 해소를 위해 임금을 올리면 인상분의 50%(월 최대 60만원)를 1년간 주는 정규직 전환 지원금 제도를 시행한다.

실업급여 수급자에 대해서는 실업 기간에 국민연금 보험료의 75%를 지원하는 실업크레딧제도가 실시된다.

내년 7월에 도입되는 중소기업 퇴직연금기금에 가입하는 사업장의 저소득근로자를 대상으로 퇴직연금 사업주부담금(10%)을 지원하고 자산 운용수수료 50%를 보조해준다.

저소득근로자는 30인 이하 사업장의 월소득 140만원 미만 근로자다.

내년 예산을 분야별로 보면, 보건과 노동을 포함한 복지가 115조5천억원으로 올해보다 8.5% 늘어나고 비중은 30.7%에 달한다. 복지 예산 비중이 30%를 넘은 것은 처음이다.

 


복지 중 일자리 예산은 7.6% 증가한 14조3천억원이다.

세월호 사고에 따른 안전 강화로 안전예산은 14조6천억원이 편성돼 올해보다 17.9% 늘었다. 분야별 증가율 중 가장 높다.

창조경제 관련 예산은 8조3천억원으로 17.1% 늘어난다.

경기 회복을 위해 애초 줄이려고 했던 사회간접자본(SOC), 농림·수산·식품, 환경 예산도 3.0∼4.0% 늘렸다.

공무원 보수는 평균 3.8% 인상되고 사병 월급은 15% 오른다.

재정건전성은 일시적으로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총수입은 382조7천억원으로 3.6% 증가할 전망이다. 이 증가율은 2013∼201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의 6.2%보다 낮은 수준이다.

정부는 내년 물가 상승률 2%, 실질 경제 성장률 4%, 경상 성장률 6%를 전제로 예측했다.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33조6천억원으로 올해 25조5천억원보다 증가하고 국가채무도 570조1천억원으로 올해의 527조원보다 늘어난다.

내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수지 비율은 -2.1%로 2010년의 -2.4% 이후 5년만에 최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35.7%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정부는 관리재정수지 적자가 내년을 정점으로 2016년 30조9천억원, 2017년 24조원, 2018년 18조1천억원 등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임춘원기자 lcw@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