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 등 내로라하는 국내·외 전자·IT 기업 800여개가 한자리에 모였다.
14일 한국전자전(KES)·국제반도체대전(i-SEDEX)·국제정보디스플레이전(IMID) 등 3대 전시회를 아우르는 ‘2014 전자정보통신산업대전’이 고양 킨텍스에서 개막했다.
권오현 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장은 개회사에서 “지금이 전자·IT 산업의 골든타임이라 생각한다”며 “창조경제의 선도자로서 동반성장, 투자확대, 규제 완화, 인수합병(M&A) 활성화 등에 매진해달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곡면과 평면을 넘나드는 105인치 벤더블 UHD(초고해상도) TV를 국내에 처음 선보였다.
또 105·78·65인치 커브드 UHD TV 등 다양한 커브드 TV 제품군을 전면에 내세웠고, 셰프컬렉션 냉장고와 지펠 푸드 쇼케이스, 진공흡입 로봇청소기 파워봇, 프리미엄 청소기 모션싱크 등 생활가전 제품도 전시장 한편을 지켰다.
이밖에 갤럭시 노트4, 갤럭시 노트 엣지, 기어S, 기어VR 등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를 함께 전시했다.
삼성전기는 스마트폰 부품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부품, 차량용 전장부품을 체험존(zone) 형태로 선보였다.
LG전자는 울트라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와 독자적인 웹OS를 탑재한 스마트TV+를 전면에 내세웠다.
21:9 곡면 모니터, 울트라HD 모니터, 일체형PC 라인업 등 전략 IT제품과 98인치 울트라HD 사이니지와 미러사이니지 등 상업용 디스플레이를 함께 전시했고, 의류관리기 스타일러와 얼음 정수기냉장고 등 생활가전 제품도 대거 내놨다.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라인으로 연결되는 LG 홈챗으로 스마트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홈 서비스도 시연했다.
LG이노텍은 2천70만·1천600만 화소 광학식 손떨림 보정(OIS) 카메라모듈, 메탈메시 방식 터치스크린 패널(TSP), 스마트카에 적용되는 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용 부품 등을 선보여 관심을 모았다.
/고양=고중오기자 g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