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관내 서울시 난지물재생센터의 악취해소를 위한 복개 및 지하화 추진이 앞당겨져야 한다는 지적이 국감에서 제기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태원 의원(새·고양덕양을)은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경기도내 서울시 기피시설 주변지역에 대한 서울시의 관심과 지원을 촉구했다고 21일 밝혔다.
김 의원은 서울시는 2019년까지 난지물재생센터에 시설현대화를 추진하는 한편 주민편의시설을 설치하는 계획을 발표하고, 현재 서울시는 4개 물재생센터에 대해 복개, 지하화 및 공원조성을 내용으로 하는 현대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랑물재생센터(서울 성동구)와 서남물재생센터(서울 강서구)경우 2016년과 2018년까지 3천272억원, 3천60억원을 각각 투입해 전체면적의 5분의 1가량을 지하화 한 후 지상에 대규모 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탄천물재생센터(서울 강남구)도 2016년까지 927억원을 들여 복개 후 공원화할 계획으로, 이들 세 곳의 물재생센터는 모두 서울지역에 있는 시설이다.
반면 고양시에 위치한 난지물재생센터는 네 곳 중 가장 넓은 부지를 갖고 있으나 2019년까지 535억원을 들여 악취저감시설 보강(수처리시설 덮개, 탈취시설 설치), 주민편의시설(체육공원, 공공녹지 등)을 설치하는 정도이다.
또 악취발생이 심한 분뇨 및 음식물처리시설 지하화는 2023년, 수처리시설 복개화는 2030년에나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난지물재생센터는 서울시민의 분뇨와 하수, 음식물쓰레기, 재활용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설인데도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다는 이유로 개선에 차별을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최소한 서울에 위치한 3개의 재생센터 현대화사업에 맞춰 고양시 관내 서울시 난지물재생센터의 복개·지하화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양=고중오기자 g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