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DMZ 평화공원 일원에 UN 제5사무국 유치를 추진한다.
남경필 지사는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새누리당 이완영(고령·성주·칠곡) 의원의 “DMZ 평화공원 조성과 관련, 경기도가 어떤 역할을 하나”란 질의에 “현재 아시아에 UN 사무국이 없다. DMZ 평화공원과 연계해 UN 사무국을 유치하려고 노력 중이다”고 말했다.
남 지사는 이어 “조만간 김희겸 행정2부지사가 제네바 회의에 참석, (DMZ 평화공원 일원 UN 사무국 유치) 관련한 토론을 할 것이다. 의원들의 협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UN은 현재 본부가 있는 미국 뉴욕과 스위스 제네바, 오스트리아 빈, 케냐 나이로비 등 4곳에만 사무국을 두고 있다.
사무국은 사무총장 직속기구로 UN의 전반적인 행정업무와 UN산하 각 기구로부터 위임받은 업무를 수행한다.
21곳에 위치한 지역사무소는 지역위원회와 현장사무소, 조사소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UN 193개 회원국 중 약 30%(54개국)를 차지하고 있는 아시아에 아직 사무국이 없다.
도는 UN 사무국 유치 당위성으로 아태지역의 공동번영과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의 공동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최적지가 아시아인 점, 세계 유일의 분단 국가인 대한민국에 사무국 설치 시 아태 지역과 세계의 항구적 평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제시했다.
특히 사무국을 유치하게 되면 ▲도의 브랜드 가치 제고 ▲국제외교의 중심으로 거듭 ▲평화·인권·협력 등 관련 국제기구 추가 유치 및 유관 회의 개최로 전쟁억제 강화 ▲남북 화해와 독북아 화합 등의 효과를 볼 것으로 도는 기대했다.
앞서 KDI와 인천발전연구원은 GCF(녹색기후기금) 사무국의 송도 유치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2천억원이 넘을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도는 UN 제5사무국 유치를 위해 각 국제기구와 국제유관기관을 찾아 도를 알리고, 각종 국제회의 개최도 추진할 계획이다.
중앙정부와 협업체계 구축 및 도와 자매결연을 맺은 해외 지자체와 아태지역 국가들과의 공조체계 구축에도 노력할 예정이다.
/안경환·홍성민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