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3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갖고 ‘상호비판’보다는 ‘정책대결’에 집중했다.
새누리당 김 대표는 이날 대표 취임 이후 첫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여야가 중심이 돼 사회 각분야가 참여하는 범국민운동기구를 만들어 ‘고통분담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 운동’을 벌일 것을 제안했다.
그는 공무원연금과 관련 “지금 개혁하지 않으면 향후 10년간 재정보전 금액이 53조원에 이르게 돼 국민 1인당부담액이 100만원을 넘는다”며 “정치적인 손해를 보더라도 용기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또 “공무원의 일방적인 희생만을 강요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공무원 처우개선책도 약속하며 “여야가 함께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완성시켜 나가자”고 야당에 당부했다.
김 대표는 “오늘날 대한민국의 시대정신은 격차해소”라면서 “새누리당은 앞으로 경제민주화와 관련된 법안은 꾸준히 챙기면서 힘없는 기업 편에 서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세월호 참사와 판교 환풍구 사고 등 잇단 안전사고에 대해선 “새누리당은 안전대책에 관한한 절대 타협하지는않는 자세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 ‘안심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새정치민주연합 문 비상대책위원장은 교섭단체 연설에서 “이제 제왕적 대통령 중심제라는 헌 옷을 과감히 벗어 내리고 분권적 대통령제라는 새로운 옷으로 갈아입을 때가 되었다고 저는 판단한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대북 관계와 관련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10·4 선언 등 기존의 남북합의 존중,대북전단 살포행위 저지, 5·24 대북제재 조치 철회, 금강산 관광 재개를 제시했다.
그는 “공무원연금 개혁도 이와 마찬가지로, 국민 여론을 등에 업고 대통령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국회에서 군사작전 하듯 밀어붙여서 해결될 일이 아니다”라며 관련 당사자의 참여를 전제로 한 국회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여야간 쟁점 현안인 세월호특별법에 대해선 “유가족의 뜻이요 국민의 요구라서 여야가 합의한 기한 내로 제정돼야 한다”며 “철저한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보상 내지 배상, 재발방지책이 마련될 때까지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