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0일 내년도 누리과정 예산편성 절충을 시도했지만 원내 지도부 차원의 합의에 이르지 못해, 누리과정예산의 소관상임위인 교육문화체육위는 이날로 9일째 파행됐다.
이 과정에서 황우여 교육부총리와 교육문화체육위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신성범, 새정치연합 김태년(성남수정)의원간 3자 협의 내용을 둘러싼 합의 여부 해석을 놓고 진실공방이 전개되기도 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날 오전 3자 협의 직후 내년 누리과정 확대에 따른 추가 예산소요 5천600억원을 국고에서 지원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으나, 여당인 새누리당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정면으로 부인했다.
교문위 새정치연합 간사인 김태년 의원은 이날 오전 “내년에 누리과정 지원 확대에 따라 필요한 내년 예산 5천600억원을 교육부 일반회계로 편성, 국고에서 지원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그동안 누리과정 예산을 시도교육청에서 지방채를 발행해 부담하고 이자를 국가가 지원하겠다는 입장인 반면에 새정치연합은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사업인 만큼 국고에서 지원해야 한다고 맞서왔다.
하지만 새누리당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는 즉각 기자회견을 열어 “누리과정 예산에 대해 합의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며 “상임위 차원에서 그런 의견이 오갔는지 모르겠지만 당 지도부와는 전혀 논의하거나 협의한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김 수석부대표는 “그런 합의를 할 의사가 우리 당은 전혀 없다”고도 못박았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교문위 새누리당 간사인 신성범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누리과정 예산편성 합의를 둘러싸고 혼선이 발생한 데 대해 책임을 지겠다”며 간사직 사퇴를 선언했고, 당 원내지도부는 이를 만류했다.
그러자 새정치연합 김태년 의원은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오전에 새누리당 신성범 간사와 황우여 교육부 장관이 모여서 누리과정 예산을 포함한 핵심쟁점에 합의했다”고 거듭 주장하면서 “교육부 장관이 여야 간사와 합의한 내용에 대해 여당 원내수석부대표가 ‘월권’이라고 언급한 것은 참으로 가당치 않다”고 비판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