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금리 인하 등 대부업체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대부업체들이 대출을 9% 가까이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대부업체들이 영역을 확대하면서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높은 금융소비자들이 대부업 시장에 편입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위원회와 행정자치부, 금융감독원은 전국 등록 대부업자를 대상으로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30일 이같이 밝혔다.
등록 대부업자(대부중개업자 포함) 수는 6월말 기준 8천794개로 지난해말 대비 532개(5.7%) 감소했고, 평균 대부금리는 30.8%로 6개월 전의 31.9%보다 1.1% 낮아졌다.
정부의 지속적인 최고금리 인하(연 34.9%)와 중개수수료 상한제(5%) 도입 등에 따른 것으로 이자수익이 줄어든 대부업체들은 대출 확대 전략을 전면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6월말 기준 총 대부잔액은 10조9천억원으로 6개월전보다 8천800억원(8.8%) 증가했다.
특히 상위 10대 대부업자의 대부잔액은 5조9천260억원에서 6조4천715억원으로 5천455억원 불어났다.
82개 전업 대부업체의 상반기 순익은 3천756억원에 달했고 연체율은 7.2%였다.
대부업 중개 금액은 9천300억원으로 6개월 전의 2조1천600억원에 비해 절반 넘게 감소했고, 중개업체도 2천29개로 12.7% 감소했다.
차입용도는 생활비가 53.1%, 사업자금 23.7%, 타 대출상환 7.1%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등록 대부업자의 급격한 감소에 따라 무등록 업자의 불법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자체·수사기관과 공조해 단속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규원기자 yk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