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이달말 어린이 통학버스에 대한 의무등록제가 시행되지만 안전시설 설치 비용 부담 등으로 인해 신고율이 저조해 우려가 일고 있는 가운데(본보 1월 13일자 18면 보도) 해마다 수십여건에 달하는 어린이 통학버스 교통사고는 물론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13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어린이 통학버스 교통사고는 2011년 81건, 2012년 64건, 2013년 32건으로 지난해 역시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안전운전의무 불이행 및 보행자 보호 의무위반과 교차로 통행위반 등의 통학버스 교통사고로 인해 매년 2~4명의 어린이가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매년 수십여건의 어린이 통학버스 교통사망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불안감과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관련법 개정을 통해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기준 강화 등을 의무화했지만, 비용 부담 등을 이유로 신고율마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우려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학부모 박모(32·여)씨는 “잊을만 하면 터지는 어린이 통학버스 교통사망사고로 아이들이 다치지 않을까 항상 불안하다”며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통학버스 의무등록제를 시행한다고 하는데도 지켜지지 않는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고 토로했다.
도 관계자는 “통학차량의 구조적 문제 해소 등 학부모 안심대책에도 불구, 아직까지 절반 가량이 신고하지 않았다”며 “제도의 정착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 2013년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강화 종합대책 발표에 이어 지난해 어린이 안전교육 및 통학차량 안전관리 개선방안을 안건으로 하는 국가정책조정회의가 열리기도 했다”며 “앞으로 관련법 개정 등과 함께 개선 방안 등이 적극 추진된다면 통학버스 교통사망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