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2곳 중 1곳이 기본적인 방제장비조차 갖추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개발연구원은 지난해 8~10월 도내 유해화학물질 사업장 805곳을 대상으로 벌인 실태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이 결과 절반에 가까운 399곳(49.6%)이 개인보호 장구와 중화약품 등 기본적인 안전 및 방제장비를 구비하지 않았다.
또 사업장 가운데 307곳(38.1%)은 잠금 및 보안시설을 설치하지 않았고, 309곳(38.4%)은 유독물 표기 및 안전표시를 하지 않았다.
안전관리 책임자를 지정하지 않은 사업장도 448곳(55.6%)으로 절반이 넘었다.
유해화학물질 운반차량을 보유한 사업장 537곳 가운데 운반 업무자에 대한 안전교육을 하지 않은 사업장도 37.6%(202곳)에 이르렀다.
이에 반해 국민의 62.5%는 구미 불산 누출사고 이후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우리 사회의 대비태세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했다.
이는 경기연이 지난달 전국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바일 설문조사(신뢰도 95%, 오차범위 ±3.1%) 결과다.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응답자도 56.0%에 달했다.
김동영 경기연 생태환경연구실장은 “상당수 영세 사업장이 여전히 안전불감증에 놓여있다”며 “사업장 안전진단과 위험등급별 맞춤관리 확대, 환경닥터제를 통한 영세사업장 지원 강화, 사업장의 화학물질 정보 공개 및 위험지도 작성 등에 역점을 두고 안전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