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가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의 지하화를 촉구해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1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16일 국토교통부와 사업 시행자인 서서울고속도로 측에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의 지하화를 촉구하는 문서를 보냈다.
또 고속도로 노선이 통과하는 마을 주민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서서울고속도로 측에 3월 초까지 주민 설명회를 열 것을 요구했다.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연장 20.2㎞, 4~6차로)는 남쪽으로 수원~광명 민자고속도로와 북쪽으로 서울~문산 민자고속도로를 연결한다.
그동안 시는 고속도로 노선이 구름산과 도덕산을 관통할 시 산림 훼손은 물론 광명시 동·서 지역이 양분돼 생활권이 단절되고, 균형발전을 저해하며, 도시환경을 파괴할 수 있어 전 구간의 지하화를 강력히 요구해왔다.
그러나 최근 국토교통부는 광명시의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민자 고속도로 사업에 대한 실시계획 승인 절차를 진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재 광명시는 공공주택사업(구 보금자리주택사업) 계획이 3월 정식으로 해제될 경우 그 지역에 광명시의 100년 대계를 내다보는 첨단산업단지와 물류·의류·문화 등 신도시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집단취락 정비사업 및 일반산업단지 조성의 타당성 등의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민자고속도로가 지상으로 건설될 시 제2경인고속국도와 같이 남북이 가로막혀 생활권이 단절되고, 기존 집단 취락마을보다 2.5배 확장되는 도시개발사업 계획에 장애가 돼 광명시의 미래도시 구상계획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시 관계자는 “광명 구간을 지하화하지 않을 경우 해당 주민들과 강력히 저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광명=장순철기자 j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