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의 시대
장르 : 드라마
감독 : 안상훈
배우 : 신하균/장혁
강한나/강하늘
외세의 침략과 세자 책봉 문제로 혼란스럽던 1398년, 조선의 국경선을 지킨 공로로 군 총사령관이 된 김민재(신하균)는 연회에서 어릴 때 여읜 여진족 어머니와 닮은 기녀 가희(강한나)를 보게 된다.
권력을 향한 욕망을 잠시 감춘 오랜 벗 이방원(장혁)과 이방원을 견제하며 김민재를 이용하는 장인 정도전의 팽팽한 기 싸움이 벌어지는 가운데, 김민재는 능욕당할 위기에서 가희를 구한 뒤 그녀를 집으로 들이고 “무슨 일이 있어도 이 손을 놓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한다.
사실 가희는 어린 시절 성폭행을 당한 것도 모자라 어머니까지 억울하게 잃은 슬픔에 복수를 하고자 김민재에게 접근했으나, 복수의 대상을 향해 한 발씩 다가갈수록 김민재가 보이는 진정한 사랑에 흔들린다.
영화 ‘순수의 시대’의 배경이 되는 1398년은 정사(正史)인 ‘조선왕조실록’에 후일 조선의 3대 왕 태종이 되는 태조의 다섯 번째 아들 정안군 이방원이 반대파인 정도전 일파를 대상으로 피의 숙청을 펼치는 제 1차 ‘왕자의 난’으로 기록된 해다.
권력을 둘러싼 힘의 대립이 피바람을 몰고 온 ‘왕자의 난’은 권력과 왕좌라는 하나의 목표를 위해 강력한 두 세력이 충돌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드라마의 배경으로 작용한다.
여기에 제작진은 실제로는 정권과 병권을 한 손에 장악했던 정도전의 직책인 오늘날의 군 총사령관 자리에 가상의 인물인 장군 김민재를 탄생시켜 극의 몰입도를 높인다.
김민재는 정도전의 사위이자 이방원과는 조선 개국 과정에서 말 머리를 나란히 했던 동지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개국 후 미묘하게 갈라지는 둘의 이해관계로 인해 ‘왕자의 난’이 가진 드라마는 더욱 촘촘해진다.
게다가 천민과 귀족이 하늘과 땅처럼 갈라진, 혈통이 무엇보다 중요한 신분제 사회인 조선에서 오랑캐인 여진족 어미의 소생이라는 그의 태생적인 콤플렉스는 장군 김민재를 입체적인 캐릭터로 완성한다.
그리고 정도전의 외손이자 김민재의 아들, 그리고 태조의 딸 경순공주의 남편으로 또 하나의 가상인물인 ‘진’을 영화에 투입해 조선 초라는 역사의 뒤안길에서 서로 다른 욕망을 쫓는 세 남자의 다이내믹한 드라마를 선보인다.
영화의 중심 축인 세 남자 김민재, 이방원, 진을 연기한 신하균과 장혁, 강하늘의 연기도 주목된다.
신하균은 필모그래피 사상 최초의 사극에서 장군 김민재를 통해 전군을 발 아래 거느린 장수의 카리스마를 선보임과 동시에 영화의 큰 축인 멜로 라인을 끌고 가 두 가지 상반된 모습을 연기한다.
장혁은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수없이 다뤄졌던 캐릭터인 이방원의 새로운 면모를 입체적으로 표현한다. 아버지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아들의 비애와 왕좌라는 목표를 향해 피를 묻히는 걸 두려워하지 않는 결단력, 그리고 막후의 밀실에서 음모를 획책하는 치밀함과 비열함을 동시에 선보인다.
김민재의 아들이자 태조의 사위인 진을 연기한 강하늘은 욕망을 따라 여자를 유린하는 것을 서슴지 않는 타락한 인물로 변신, 그에게 잠재해 있을 줄 관객은 물론 자신도 알지 못했을 야비한 면을 아낌없이 선보인다. 순수를 쫓는 장군 김민재, 왕좌를 쫓는 왕자 이방원, 육체의 욕망을 쫓는 왕의 사위 진의 삼각구도는 영화의 볼거리 중 하나다.
영화 ‘순수의 시대’는 난세를 배경으로 피어났던 야망과 순수 2가지의 강렬한 감정을 실감나게 전달하며 성인사극의 새로운 세계를 펼쳐 보일 예정이다.
/민경화기자 mk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