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기 수원·화성·오산 등 6천32 가구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모두 12만가구의 공공임대주택이 공급된다.
국토부는 올해 공공건설 임대주택 7만가구, 매입·전세 임대주택 5만가구가 공급되며 공공건설임대 가운데 공공건설은 5만9천가구, 민간건설 공공임대 물량도 1만1천가구 공급된다고 16일 밝혔다.
이같은 공공임대주택 공급량은 역대 최대 규모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재건축 이주수요 등으로 전세가격 불안이 우려되는 수도권지역에 전체 물량의 60%를 집중해 공급해 전세난에 대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지난해 발표한 ‘10·30 대책’에 따라 매입·전세임대 물량도 당초 계획보다 1만가구 증가한 5만가구로 늘려 공급하기로 확정했다.
추가한 1만가구에 대해서는 수도권 공급비율을 70%로 높이고 적기에 입주자를 모집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에 입주자 선정 재량을 확대해 주기로 했다.
이번 물량 공급으로 도내에 만연된 ‘전세난’ 현상도 어느정도 해결의 물꼬를 틀 수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본부 주택판매부 관계자는 “이번 공공임대주택 확대 공급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전세가격을 진정시킨다고 장담하긴 힘들지만, “도내 부족한 전세물량 해소에 일정부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민간건설 공공임대 1만1천가구분은 아직 계획이 확정되지 않았다. 유형별로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등 취약계층에 공급하는 영구임대 3천768가구, 소득 2∼4분위 소득계층을 위한 국민임대 2만9천813가구, 분양전환을 하는 5·10년 공공임대 2만1천331가구, 기타 3천597가구 등이다.
입주신청은 금융결제원 청약 서비스(www.apt2you.com)에서 하면 된다. /윤현민기자 hmyu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