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 개관할 예정인 수원시립미술관 명칭 문제를 두고 수원지역 문화·예술계 인사가 포함된 시민단체와 수원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조직인 수원예총·수원미술협회가 미묘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한쪽에서는 공공미술관에 특정 브랜드를 넣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며 ‘강경론’을 펼치는데 반해 또 다른 쪽에서는 향후 시공업체의 미술관 운영 지원 여부에 따라 브랜드 명칭 사용도 수용할 수 있다는 ‘절충론’을 표명하고 있기 때문.
수원지역 시민단체와 일부 예술단체 등 17개 단체가 연계한 ‘수원공공미술관 이름 바로잡기 시민네트워크’(이하 수미네)는 24일 오후 시립미술관 건설현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명칭에 대해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수미네는 이 자리에서 “수원시와 현대산업개발이 기부채납을 이유로 수원의 상징 화성행궁 앞에 들어서는 시립미술관의 이름에 특정 아파트 브랜드를 붙이려 하고 있다”며 “이는 기부라는 의미를 퇴색시키는 동시에 자본의 논리에 휩쓸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시립미술관 명칭을 공공성과 자치, 지역성에 근거한 합리적 명칭으로 제정해 달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수미네 측은 ▲공공미술관 이름제정을 위한 수원시, 현대산업개발, 수원시의회, 시민사회 3자 또는 4자 협의 ▲이름제정 절차와 의견수렴 계획 공개 ▲올바른 이름제정을 위한 공청회, 토론회 마련 등도 요구했다.
또 수원시 등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현 명칭을 고수할 경우 ‘명칭사용금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같은 날 수원미술전시관 앞에서 성명서를 발표한 수원예총과 수원미협, 협력단체들은 ‘아이파크’ 명칭사용의 조건부 수용을 제안했다.
홍형표 수원미협 회장은 “아파트 브랜드인 아이파크를 뺀 수원시립미술관 또는 수원시립현대미술관으로 명명하기를 바라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미술관의 정상적 운영”이라며 “현대산업개발이 항후 미술관 운영 관련 지원을 약속해 준다면 현 명칭을 수용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현대산업개발 측이 미술관 운영 관련 지원을 약속하지 않을 경우 협의를 거쳐 입장을 재표명할 예정이다.
한편 수원시는 명칭변경에 있어 부정적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