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9일 “경제기조의 대전환 없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며 “성장에서도 유능한 진보가 되는 게 새정치연합의 목표”라고 밝혔다.
문 대표는 이날 ‘대한민국 경제, 크게 보고 크게 바꿔야 합니다’라는 제목의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한국경제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으로 ‘새경제로의 대전환’을 제시하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표는 새 경제의 골자에 대해 “공정한 경제 생태계를 기반으로 하고, 성장의 방법론으로는 소득주도성장을 추구하며, 사람 중심의 경제철학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해나가는 경제가 새경제”라고 설명했다.
문 대표는 특히 “공정하지 못한 시장·분배·세금의 배후에 공정하지 못한 정부가 있다”며 연말정산 사태를 들어“세계적으로 유례없는 황당한 잘못을 하고도 누구 한사람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고 비판했다.
문 대표는 “세금이 공정해야 한다”며 법인세 정상화를 거듭 요구하며 “새누리당이 법인세를 예외없이 다룰 수 있다고 한 만큼 법인세 정상화 조세개혁을 곧바로 추진하고, 이번 임시국회에서 다루게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대기업과 고소득층에 집중된 조세감면 제도를 과감하게 정리해야 한다”며 “서민 중산층 증세는 자제해야 한다. 더 이상 서민 중산층의 유리지갑을 털어서 세수를 메우려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문 대표는 공무원연금 개혁과 관련, “대타협기구의 틀 속에서 공무원들까지 동의할 수 있는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면서 “정부가 어느 일방의 희생만을 강요하거나, 성과에 급급해 시한을 정해 밀어붙이려 한다면 사회적 대타협은 불가능하다”며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강조했다.
문 대표는 세월호 인양 및 진상규명 문제와 관련,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규명하는 것은 여야의 문제도, 보수와 진보의 문제도 아니다”라며 “안전한 대한민국이라는 대통령의 약속은 어디 있느냐. 사람이 먼저인 나라로 가치와 철학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국정기조를 대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세월호 인양은 비용을 따질 문제가 아니다”라고 인양을 거듭 촉구하며 “인양한 세월호를 팽목항이나 안산에 둬 안전한 대한민국의 상징과 교훈으로 삼자”고 제안했다./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