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사진 한 컷에 담은 무속신앙

민속학자 김태곤이…무속
민속박물관 내일부터 전시
무구·무복 등 300점 선보여

 

국립민속박물관은 오는 22일부터 6월 22일까지 기획전시실Ⅰ에서 남강(南剛) 김태곤(1936~1996) 선생이 평생 수집한 무속 관련 유물을 소개하는 특별 기증전 ‘민속학자 김태곤이 본 한국무속’을 연다.

이번 전시에서는 김태곤 선생이 1960년대부터 굿 현장을 꾸준하게 기록하면서 멸실 위기에서 수집한 ‘관운장군도(關雲將軍圖)’ 등 무신도, 북두칠성 명두 같은 무구와 무복, ‘삼국지연의도(三國志演義圖)’와 동해안굿 사진(1960~70년대 촬영), 남이장군사당제(1972년 촬영) 동영상 등 300여 점을 선보인다.

김태곤 선생은 원광대학교와 경희대학교에 재직하며 평생 민속 현장을 조사·연구를 하면서 한국의 무신도 등 저서 34권과 황천무가연구(黃泉巫歌硏究) 등 논문과 글 200여 편을 남긴 민속학자다.

그는 대학시절부터 전국의 굿 현장을 찾았고, 무당들이 무업을 그만두면서 소각하거나 땅에 묻는 무신도와 무구를 수집했다. 몽골·시베리아까지 조사 범위를 확대하면서 비교연구를 시도하던 중 1996년, 61세의 나이에 작고했다.

그후 부인 손장연 여사는 자료 보존을 위해 자택에 항온항습기를 설치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다가 2012년 7월, 국립민속박물관에 조사현장 사진·동영상 등 아카이브자료 1천883건 3만198점과 무신도 등 유물 1천368건, 1천544점을 기증했다.

총 4부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기증유물을 중심으로 35년에 걸친 민속학자 김태곤의 학문적 발자취를 따라 가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제1부 ‘김태곤은 누구인가?’에서는 김태곤의 약력과 ‘서산민속지’, ‘황천무가연구’ 등 주요 연구 성과물을 통해 그의 생애와 학문적 자취를 살펴본다.

제2부 ‘신령과의 소통을 기록하다’에서는 무속 현장으로 들어가 신과 인간의 소통을 기록한 김태곤의 조사 노트와 사진, 영상 기록을 볼 수 있다.

제3부 ‘신령의 세계를 기록하다’에서는 자연의 절대성을 신으로 형상화한 무신도와 무구·무복, 제4부 ‘북방의 신령을 찾아 떠나다’에서는 몽골과 시베리아 등 북방민속과의 비교 연구를 시도한 김태곤의 발자취를 보여주고자 ‘시베리아 무복’(경희대학교중앙박물관 소장)과 미발표 육필원고인 ‘한국민속과 북방대륙민속의 친연성(親緣性)’ 등이 각각 전시된다.

특히 삼국지연의도’ 등 일부 코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곁들여 관람의 질을 높이도록 ‘비콘(Beacon)’ 기법을 도입한다.

비콘은 관람객이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고 전시물에 접근하면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사진과 음원·영상을 보고 들을 수 있는 전시 안내시스템이다.

또 서울과 황해도 지역의 무신도 70여 점은 전시장을 마치 수장고를 개방한 듯한 느낌으로 전시된다.

(문의: 02-3704-3151)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