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의 빈집·폐가 정비사업이 사업비 조달의 어려움으로 사업이 중도하차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3일 옹진군에 따르면 군은 관내에 오랜 방치로 흉물로 전락한 빈집·폐가 정비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빈집 자진정비사업에 예산 6천만원을, 빈집 직권철거사업에 예산 1억원을 편성해 빈집정비를 진행 중이다.
군은 전수조사로 파악된 관내 빈집 274동에 대한 실사를 마치고 올해 120동에 대한 철거를 계획하고 있다.
소유주가 빈집을 직접 철거하면 100~192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하고, 관광명소나 주요도로변에 방치돼 경관을 훼손하고 안전의 위협이 되는 빈집은 관계법령에 따라 직권 철거를 병행 중이다.
군은 현재 백령면 경관협정체결 사업지 일원 낡은 주택 및 창고, 화장실 등 22동을 자진정비로 철거했다.
또 연화2리 도로가에 흉물로 방치도니 낡은 주택 6동은 직접 직권으로 철거했다.
군 관계자는 “관내 빈집 자진정비사업이 50% 시비보조사업이라서, 빈집 30여동을 추가로 정비할 수 있게 인천시에 사업비추가 지원을 요청했지만 시가 예산부족을 이유로 추가지원을 꺼리는 실정”이라고 토로하고 “빈집정비사업의 특성상 순차적으로 사업지역에 대한 일괄 정비가 안되면 오히려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인천시가 재정 어려움으로 예산운영에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상황”이라며 “시비보조사업들 중 꼭 필요한 사항이 발생해도 우선순위를 정해 지원할 수 밖에 없다”고 해명했다.
/윤용해기자 y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