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계부채구조 개선 차원에서 출시한 안심전환대출 중 중도상환 비중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주택금융공사는 안심대출에 연계한 10년 이상 장기물 MBS 발행금액을 10조원 안팎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금융당국과 금융시장이 애초 예상했던 것보다 약 3조원 줄어든 규모다.
애초에는 안심대출을 유동화하기 위한 만기 10년 이상 MBS 발행물량이 1~2차 안심대출(34조원)의 39% 수준인 13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관측됐었다.
그러나 10년 이상 지속되는 안심대출 비중이 예상보다 작을 것으로 분석돼 10조원 안팎으로 줄이려는 것이다.
주택금융공사가 전체 안심대출자 중 15~20%를 표본분석한 결과 4~5년 이후 중도상환할 비중이 예상치보다 높을 것으로 추정됐기 때문이다.
그 근거 중의 하나는 대출자 평균 연령이 51세로 나타난 점이다.
이 연령대는 퇴직금 등 목돈을 활용해 대출을 중도상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안심대출 중 원금분할상환방식 대출 비중이 63%에 달한 것도 중도상환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시그널로 주택금융공사는 보고 있다.
신규 대출을 받은 지 평균 4년된 대출이라는 점도 중도 상환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으로 꼽혔다.
평균 이사주기가 8년임을 감안하면 앞으로 4년을 기점으로 담보주택 매매가 늘어나면서 중도상환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윤현민기자 hmyu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