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경남기업 워크아웃 특혜 의혹의 진원지인 금융감독원과 신한은행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서자 해당 기관 임직원들은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검찰은 지난 7일 김진수(55) 전 금감원 부원장보의 자택 외에 금감원 사무실과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 태평로 본사 등에서 경남기업 특혜대출 의혹을 입증할 증거를 확보하기 위한 압수수색을 벌였다.
검찰 수사관들은 이날 오전 기업금융개선국 등 금감원 사무실 4~5곳을 집중 수색해 경남기업 구조조정 관련 서류를 다량 확보한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 직원들은 이번 사건이 김 전 부원장보 선에서 끝나지 않고 윗선으로 불똥이 튈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융권에서 충청권 인사인 최수현 전 금감원장이 이번 사건에 깊숙하게 개입했을 것이라는 얘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남기업의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도 뒤숭숭한 분위기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다소 당혹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면서 “추후 대응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채권은행 관계자는 “우리는 아직 압수수색을 당하지 않았다”면서 “같은 금융권 직원으로서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경남기업의 부실화로 금융권, 협력업체 및 개인투자자들이 함께 부담할 손실이 1조1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