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태권도 종주국 자존심 지켜준 태극 낭자

러시아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남자팀 비해 약체평가 뒤엎고
8체급 출전 금 3개로 종합우승
남자는 우승 유력 선수들 노메달
금 1개 그쳐 4위 ‘역대 최악성적’

2015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한국 남녀부의 희비가 크게 엇갈렸다.

한국은 18일(현지시간) 러시아 첼랴빈스크의 트락토르 아레나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날 남자 80㎏급에 김봉수(한국가스공사), 여자 62㎏급에 서지은(한국체대)이 출전했으나 모두 초반 탈락해 메달을 추가하는데 실패했다.

김봉수는 32강전에서 이반 카라일로비치(세르비아)에게 8-10으로 졌고, 서지은 역시 32강에서 마리나 수미치(크로아티아)에게 연장 접전 끝에 5-6으로 패했다.

한국은 남녀 8체급씩, 16개 체급으로 나뉘어 열린 이번 대회에서 전 체급에 모두 출전해 금메달 4개와 동메달 1개를 땄다.

애초 이번 대회 대표팀이 꾸려졌을 때 남자부와 비교해 약체라는 평가를 받았던 여자부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 태국과 터키(이상 금1·은1·동1) 등을 제치고 종합우승을 차지했다.

49㎏급 하민아(경희대)를 시작으로 53㎏급 임금별(전남체고), 73㎏급 오혜리(춘천시청)가 차례로 ‘금빛 발차기’를 날려 종주국의 자존심을 지켰다.

반면 남자부에서는 종합 4위라는 역대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한국 남자부는 경주에서 열린 2011년 대회에서 금 2개와 은메달 2개를 따 이란(금 3·은 1·동 2)에 대회 사상 처음으로 1위 자리를 내줬다가 2013년 푸에블라 대회에서 1위(금 3·은 1·동 1)를 되찾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종합우승을 차지한 이란(금 3·동 1)과 개최국 러시아(은 2·동 3)는 물론 우즈베키스탄(금 1·은 2)에도 종합 점수에서 밀려 4위로 처졌다.

54㎏급에서 대회 2연패를 이룬 김태훈(동아대)이 이번 대회의 유일한 한국 남자 금메달리스트다. 68㎏급의 신동윤(한국체대)이 동메달을 하나 보탰을 뿐이다.

3연패에 도전했던 63㎏급의 이대훈(한국가스공사)을 비롯해 2011년 경주 세계대회와 지난해 인천 아시안게임 우승자인 87㎏초과급의 조철호(삼성에스원), 2013년 멕시코 푸에블라 세계대회 은메달리스트(68㎏급)인 74㎏급의 김훈(삼성에스원) 등 유력한 금메달 후보들이 메달조차 챙기지 못하면서 체면을 구겼다.

이날 폐회식에서는 대회기가 2017년 개최지인 전북 무주로 이양됐다./연합뉴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