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민간단체가 추진하던 6·15 공동선언 발표 15주년 공동행사가 사실상 무산돼 예년처럼 남한과 북한에서 각자 6·15 기념행사를 개최하게 될 전망이다.
‘6·15 공동선언 15돌·조국해방 70돌 민족공동행사 북측 준비위원회’는 지난 1일 ‘광복 70돌·6·15 공동선언 15돌 민족공동행사 남측 준비위원회’에 6·15 행사를 각자 지역에서 분산 개최하자는 서신을 보내왔다고 남측 준비위가 2일 대변인 성명을 통해 밝혔다.
북측 준비위는 팩스로 보낸 서신을 통해 “남측 당국이 6·15 공동행사에 대해 ‘순수한 사회문화 차원에서 이뤄지는 경우에 허용할 것’이라는 전제조건을 달면서 6·15 민족공동행사를 서울에서 한다는 것에 대한 입장을 아직까지도 밝히지 않고 있다”며 남한 정부를 비난했다.
북측 준비위는 또한 “남측 당국의 근본 입장에 변화가 없는 한 설사 행사 준비를 위한 실무접촉을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좋은 결실을 가져올 수 없을 것”이라며 “이런 점을 심중히 고려해 6·15공동선언 발표 15돌 민족공동행사를 불가피하게 각기 지역별로 분산개최하자”고 의견을 제시했다.
앞서 남북 준비위는 지난달 5∼7일 중국 선양(沈陽)에서 사전 접촉을 하고 6·15 공동행사를 이달 14~16일 서울에서 개최하자고 잠정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남측 준비위는 개성에서 6·15 공동행사를 위한 실무협의를 갖자고 지난달 14일 제안했지만 북측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어 같은달 26일 “북측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접촉을 하자”며 실무접촉을 다시 제안했지만 북측은 역시 응하지 않았다.
6·15 공동행사를 코앞에 둔 상황에서 북측이 실무접촉에는 응하지 않고 분산 개최 의견을 제시함에 따라 6·15 공동행사는 사실상 물 건너간 상황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