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성 기숙학교 사라진 소녀들’ 미스터리가 드러난다

나라도 이름도 정체성도 잃어버렸던 일제강점기
학교에서 벌어지는 사건… 학생들은 혼란속으로
기록조차 되지 못했던 비밀 이야기 스크린에 옮겨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장르 : 미스터리

감독 : 이해영

배우 : 박보영/엄지원/박소담

일본인에게 나라를 빼앗긴 대한민국의 가장 비극적인 시기 1938년. 외부와 완벽히 단절된 경성의 기숙학교는 평화롭기 그지없다.

그러던 어느 날 한 명의 소녀가 사라진 뒤 고요하던 학교는 술렁이기 시작한다. 기숙학교에 전학온 주란(박보영)은 사라진 소녀들을 목격하지만 아무도 그녀의 말을 믿어주지 않는다.

기숙학교의 교장(엄지원)도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우수학생 선발에만 몰두할 뿐이다. 학교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은 점점 학생들을 혼란 속으로 빠뜨리고, 곧 주란에게도 사라진 소녀들과 동일한 이상증세가 나타난다.

영화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은 나라도, 이름도, 정체성도 잃어버려야 했던 일제강점기에 기록되지 못한 미스터리한 이야기를 그린다.

이해영 감독은 “일제강점기는 조선인이기에 정체성을 가질 수 없었던 시기와 여학생들의 과도기적 감성이 맞닿아 있다고 느꼈고, 그 당시의 시대적 정서와 소녀들의 정서가 만났을 때 화학반응 같은 게 있다”며 일제강점기, 미스터리한 사건의 중심에 있는 소녀들에게 주목한 이유를 밝혔다.

음산한 기숙학교를 배경으로 한 영화는 이 감독의 탁월한 미적 감각과 상상력이 어우러진 미장센으로 완성도를 높인다.

특히 영화의 주요 배경인 학교는 이 감독과 미술팀이 고증자료를 뒤져 재현해냈고 찾아낸 자료들에 상상력을 담아 새로운 공간으로 완성시켰다.

소녀들이 생활하는 304호 기숙사와 주란과 덕의 아지트 등에는 꽃잎, 초 등의 오브제를 배치해 1938년의 시대상과 소녀들의 섬세한 감성을 독특하게 결합시켰다. 의상에도 많은 공을 들였다.

획일화된 규칙 속에 살아가는 소녀들이 입는 의상은 교복, 잠옷, 운동복 3벌 뿐 이기에 디자인과 재질감을 고려해 변주를 줬다. 더불어 경성 시대 여인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교장의 다양한 의상 스타일도 볼거리 중 하나다.

박보영과 엄지원 두 배우의 새로운 연기변신도 주목할 만하다.

‘과속 스캔들’(2008)로 데뷔한 이후 ‘늑대소년’(2012), ‘피끓는 청춘’(2014) 등에서 탄탄한 연기력과 싱그러운 매력을 과시한 여배우 박보영은 기숙학교에 전학 온 소녀 주란 역을 맡아 그간 보여주지 않았던 얼굴을 드러낸다.

사라지는 소녀들을 보는 유일한 목격자 주란은 학교의 비밀에 다가갈수록 혼란에 빠지게 되는 인물로, 박보영은 병약했던 소녀에서 감정이 폭발하는 모습까지 자유자재로 오가며 주란의 급격한 변화를 탁월하게 표현해 냈다.

드라마 ‘싸인’의 강력계 여검사, ‘박수건달’(2012)의 명보살, ‘소원’(2013)의 평범한 엄마까지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자랑하는 엄지원은 비밀을 간직한 교장 역을 맡았다. 엄지원은 온화하며 지적인 외모뒤에 검은 속내를 숨기고 있는 이중적인 인물을 완벽하게 소화한다.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은 수려한 미장센과 배우들의 완벽한 연기로 관객들의 심장을 뛰게 만드는 오감 만족 영화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민경화기자 mk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