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68) 전 한국은행 총재는 세계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무역 상대국의 움직임에 따라 한국 경제가 유연하게 대처해 나갈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전 총재는 지난 22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국개발연구원(KDI) 주최로 열린 ‘글로벌 금융 안정 국제 콘퍼런스’에서 오찬 강연 후 기자들과 만나 “경제문제를 고려할 때 한국과 연관된 국가들의 움직임을 자세히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총재는 2010년 4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한은 총재를 지냈다.
그는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면서 경제문제를 볼 때는 당사국뿐만 아니라 밀접한 관계에 있는 무역 상대국의 움직임도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이 한국에 어떤 영향을 줄지를 묻는 말에 김 전 총재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한다면 중국 등 다른 신흥국도 대응할 것”이라며 “다른 나라들의 움직임을 보고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가 적절한 수준인지에 대해선 “금리인하 수준이 적절한지는 다른 여건이 변화하느냐 아니냐에 달렸다”며 “수출 의존적인 나라에서 다른 나라들이 어떻게 움직일지 모르는데 국내 문제만 놓고 괜찮은지, 아닌지 말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예전에는 국제 경제가 미국 중심으로 움직였지만 지금은 미국, 유럽, 일본, 신흥국이 다 커가고 있어 과거보다 불확실한 상황이 됐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