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가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직면하면서 우리 산업계는 국내외 경제에 미칠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리스와의 교역 규모가 작아 그리스 사태가 파국으로 치닫더라도 당장 수출기업 피해 등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유럽 재정위기 때처럼 유럽 전반의 경기 침체로 이어지거나 유로화 약세를 심화시킬 경우 수출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업계에서는 우려하고 있다.
28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그리스와의 교역액은 지난해 14억6천만달러로 우리나라 전체 교역액(1조982억달러) 대비 0.1%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수출액이 10억5천만달러(0.2%), 수입액은 4억1천만달러(0.1%)다.그리스와의 교역은 이미 올해 들어(1∼5월) 수출액이 작년보다 73.1%, 수입액은 41.1% 급감하며 이상 징후가 감지되고 있다.
그리스와의 교역 규모는 이처럼 작아 그리스가 경기 악화로 수출입을 줄인다고 해도 우리나라 전체 교역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그리스 사태의 파장이 그리스 한 나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유럽 내 금융기관 상당수가 그리스 위기에 노출돼 있는 데다 권역내 교역이 맞물려 있는 탓에 그리스 디폴트가 현실화될 경우 유럽 금융권의 부실과 함께 유로존 전반의 소비와 투자심리 위축을 가져올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