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연평도 꽃게잡이 흉년… 어민들 ‘한숨’

올 봄어기 어획량 41만9천㎏
전년대비 58% 수준 그쳐
수입도 36%나 줄어들어

인천 연평어장의 올해 어획량이 지난해에 비해 절반 수준에 그쳐 어민들을 한숨 짓게 하고 있다.

1일 옹진군에 따르면 올해 봄 어기(4∼6월) 연평도 꽃게 총 어획량은 41만9천kg으로 지난해 봄어기 71만6천kg의 58% 수준을 보였다.

2013년 봄 어기 어획량 26만200kg보다는 배 가량 늘었지만 지난해 봄어기부터 이어진 어획량 감소세가 이어진 것이다.

그나마 지난달에는 전년 동월에 비해 70% 수준까지 어획량을 끌어올렸지만 4~5월에는 지난해와 비교해 40% 수준의 어획량에 그쳤다.

어획량이 감소함에 따라 올해 봄어기 총 어획 수입도 45억원을 기록, 지난해 봄어기 70억3천만원보다 36% 줄었다.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는 봄어기 시작 전 연평어장을 포함한 인천해역의 올해 꽃게 어획량이 지난해보다 50∼70% 줄어든 160만∼220만kg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꽃게의 유생 분포, 어획실태, 어선세력, 수온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내놓은 결과였다.

한 때 서해의 꽃게 대표 산지로 유명했던 연평어장의 어획량은 2009년 이후 5년째 감소 추세였다가 지난해 반등했다.

2008년 228만kg에서 2009년 295만kg으로 증가한 이후 2010년 242만kg, 2011년 225만kg, 2012년 189만kg으로 계속 하락세를 보였다.

2013년에는 역대 최저인 97만kg에 그쳤다가 지난해 137만kg으로 소폭 증가했다. 매년 인천 전체 꽃게 어획량의 25%가량이 잡히는 연평어장(764㎢)에서는 산란기 꽃게를 보호하기 위해 4∼6월과 9∼11월에만 조업이 허용된다.

서해수산연구소 관계자는 “지난해 어린 꽃게의 자원량이 줄었고 인천 해안의 수온도 다소 낮아져 어획량이 준 것으로 보인다”며 “가을어기 어획량도 지난해와 비교해 증가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윤용해기자 youn@








COVER STORY